앞으로 낙농진흥회 진로 문제는 곧 구성될 낙농발전대책협의회에서 중장기 한국낙농산업 발전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결정하게 된다. 농림부는 낙농가들로부터 낙농진흥회 해체를 요구해 옴에 따라 낙농진흥회에 대해 근본적으로 접근, 검토할 시점에 왔다고 보고, 낙농가대표·유업계·학계 등 전문가들 중심으로 낙농발전대책협의회를 구성, 낙농진흥회 존치여부의 논의를 포함 낙농산업 발전 중장기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농림부는 특히 이번에 마련될 낙농산업 발전 중장기 대책에 체세포 등 하위등급에 대한 패널티를 강화, 유질개선 및 저능력우 도태를 유도하는 동시에 깨끗한 목장 만들기 추진을 통해 우유품질 고급화를 유도해 나가는 경쟁력 강화 및 품질·위생 향상대책도 포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DDA(도하개발아젠다) 이후 더욱 어려워질 낙농여건을 감안, 낙농산업의 경쟁력 확보로 낙농가의 소득안정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낙농가와 농림부간 원유 감축 문제 합의에 이어 앞으로 낙농발전대책협의회가 어떤 구체적인 낙농산업 발전 중장기 대책을 내놓을지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한편 낙농진흥회는 낙농진흥법에 원유와 유제품의 수급 및 가격안정사업 추진을 위해 설립했음을 명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유가 남아도는 심각한 수급 불균형으로 낙농진흥회 기능을 다하지 못하자 낙농진흥회 존폐가 도마 위에 올라와 앉게 된 것으로, 이번에 낙농발전대책협의회의 논의 결과가 주목된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