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업체간 첨예한 입장차로 그동안 부진을 면치 못했던 원종계 감축협상이 여론은 물론 농림부의 압력까지 이어지면서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지난 9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원종계 감축원종계 보유 3사 가운데 하림을 제외한 (주)삼화육종과 한국원종이 종계관련협의회(이하 종관협)가 제시한 감축안에 대해 일단 수용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종관협이 제시한 감축규모에서 2천수 정도의 배정량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하림측도 업계나 행정부의 입장에 가급적 따른다는 게 기본방침이어서 원종계업체들의 포괄적인 감축규모 합의안이 곧 마련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종관협은 국내 적정 원종계 사육규모를 9만2천수로 판단, ▲삼화 5만수 ▲한국 2만2천수 ▲하림 2만수를 각각 유지할 것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좀처럼 풀리지 않을 것 같았던 원종계협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된데에는 "근본적인 업계불황해소를 위해 원종계감축이 불가피하다"는 여론이 높은 상황에 농림부까지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된 것이 결정적인 배경이 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일 원종계업체들에게 통보된 종관협의 감축안을 놓고 농림부 관계자가 직접 각 회사 대표자들과 전화 통화를 통해 수용여부를 일일이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당시 농림부측은 "감축안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행정차원의 페널티(불이익)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 관련업체들에게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함으로써 저마다 감축안에 불만을 표출하면서도 일단 수용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원종계업체들이 감축안 수용에 따른 전제조건을 붙이고 있는데다 감축규모가 최종 확정된다고 하더라도 실제 사업착수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풀어나가야 할 과제가 산재,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당장 업체별 일정규모의 원종계 도태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럴 경우 종계공급의 공백이 불가피한데다 이번 감축안이 생산능력과 그간의 시장점유율 등을 기준했다고는 하나 배정량 산출을 위한 별도의 기준(계산법) 마련 없이 이뤄진 상황에 감축체제 지속여부 및 기간 결정에 애로는 물론 종계환우 방지책 등 실질적인 후속관리대책도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종관협과 원종계 3사 대표자들은 지난 11일 양계협회에서 회의를 갖고 최종 감축안 확정과 이에따른 세부추진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 그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일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