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가 지난달 27일 개최한 이사회에서 일부 단위농협장 출신 이사들이 안건에도 없던 농협계육가공분사 적자내용을 꼬집어 지적하면서 축협장 출신 이사들이 강하게 반발, 논란을 빚은 것으로 전해졌다. 축협장들은 이 자리서 “축산사업에 대해선 축협장들이 더 많이 알고 있는데 한마디 상의 없이 농협장들끼리 서로 얘기하고 사업보고를 개별로 받은 후 이사회에서 적자를 지적하는 것은 어떤 의도성이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한 것을 알려졌다. 일부 농협장들은 이사회 전 계육가공분사 사업내용에 대해 자료를 요청, 개별적으로 보고를 받았다는 것. 축협장들은 또 “협동조합중앙회 사업이라는 것이 지도기능이 혼용이 돼 있어 적자가 날수 있다”며 “굳이 이를 지적하겠다면 농업경제부문에도 몇 백억씩 적자를 내는 사업장들이 있는 만큼 함께 적자내역을 보고 받아 논의하자”고 주장했다고 한다. 결국 이사회는 다음 회의에 계육가공분사로부터 사업현황을 보고 받는 것으로 결론 짓고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이사 축협장들은 “농업경제부문 적자사업장도 함께 보고 받을 생각이었지만 너무 감정적인 대응으로 비춰질 수 있어 계육가공분사 보고 후 추이를 봐서 농업경제부문 보고를 받는 등 대응해 나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축협장들은 “농협장들이 계육가공분사를 매각 또는 육가공분사에 합병시킬려는 의도성이 있는 것 같다”며 철저하게 대응하겠다는 각오를 다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일선 축협장과 축산인들은 “농협이 축협중앙회를 통합한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축산사업의 특성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축산사업장 축소만 생각하고 있냐”며 분개하고 있다. 이들은 더욱이 일설에 따르면 “농협중앙회 내부에서 축산경제부문을 농업경제부문으로 통합시키고 축산사업장을 대폭 축소하려는 움직임이 공공연하게 제기되고 있다는데 농촌소득중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축산업 자체를 부정하겠다는 생각에서 나오는 것 아니냐”며 혹시 모를 축산경제의 농업경제 통합을 경계했다. 이들은 또 “앞으로 농협중앙회 이사회에 들어가 있는 축협장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하면서 “축산업과 축협, 축산인 발전을 위해 신념을 가지고 활동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