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불균형에 따른 불황이 지속되고 있으나 비현실적인 정부의 수매비축자금 지원조건으로 육계계열화업체들이 정부에 대한 관련 자금지원 요청에 선뜻나서지 못하고 있다. 육계계열화업계는 사회 전반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닭고기 소비위축과 생산과잉으로 육계가격이 바닥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데다 내년 1/4분기까지도 이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로인해 업계 내부에서는 수개월 전부터 육계가격 안정을 위해 전업체들이 참여하는 수매비축 사업이 하루빨리 전개돼야 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으나 대부분 업체들이 자금부담 때문에 본격적인 시행에는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년에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수매비축을 실시해 왔던 육계계열화업체들이 높은 금리와 비현실적인 상환기간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정부에 자금지원 요청조차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계열화업계는 정부가 자금 지원을 통해 닭고기 수매비축의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관련지원자금에 대한 조건을 대폭 완화, 금리를 인하하고 상환기간을 대폭 연장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99년 업계의 요청에 따라 정부는 닭고기 수매비축 자금으로 35억원을 배정했으나 위와같은 이유와 함께 자금지원 결정도 뒤늦게 이뤄짐으로써 관련업체들이 이를 외면, 이들 업체들의 사용실적이 전무했었다. 이와관련 한 계열화업체 대표는 『가뜩이나 담보조건도 까다로운데다 8%의 높은금리와 3개월만에 상환하라고 하면 어느 누가 수매비축 자금을 사용하겠느냐』고 반문하며 이 때문에 전체적인 닭고기 가격안정을 위해서 수매비축이 불가피한 시기라고 해도 정부에 대해 자금지원을 요청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럴 경우 오히려 이자부담만 부담될 것』이라고 잘라말했다. 이일호 L21ho@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