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소음 빛등 외부자극 과민반응

광우병 임상증상 및 진단요령 <2>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3.10.22 12:30:21

기사프린트

< 감각(지각력) 검사 >
BSE환축은 접촉, 소음 및 빛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한다. 대개 동물은 이러한 3가지 자극에 대해 동시에 반응하지 않거나 적어도 각각의 자극에 대해 같은 정도로 과민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95%의 환축에서 접촉과민반응이, 80%에서 소음과민반응이, 45%에서 빛에 대한 과민반응이 감지되었다. 민감도 검사를 위해 머리 및 목부위에 대한 접촉검사, 소음, 빛검사 및 소의 뒷다리 부위에 대한 빗자루 검사(일명 삼지창검사)가 이루어졌다. 검사결과 해석시 유의해야 할 점은 이상증세 및 비정상반응은 항상 재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 접촉에 대한 과민반응 검사
머리와 목부위 접촉에 대해 과민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흉부 및 허리부위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머리와 목에 대해 자극을 가하는 경우 BSE환축은 고삐를 잡아쥐거나 보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거칠게 저항하였다.
접촉에 대한 과민반응을 검사하기 위해 검사자는 검사대상동물에 대해 측면으로 접근하였다. 우선 목 및 머리부위 양쪽 측면으로 손을 이용하여 감싸안으면서 촉진하여 보았는데 극도로 과민한 암소 1두가 이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였다. 그러나 다른 BSE환축에서는 이러한 손을 이용한 촉진에 대해 어떠한 과민반응도 나타내지 않았다. 이번에는 목 및 머리부위의 양측표면뿐이 아닌 정면 및 콧망울에 대해 볼펜의 뾰족한 부위를 이용하여 자극의 강도를 높여 보았다. 이러한 검사는 대다수 정상축에 있어서 특정한 반응을 유도하지 않는다. 종종 1두정도의 정상축에서 방어행위가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BSE환축은 이렇게 볼펜으로 머리 및 목에 가해지는 자극에 대해 매우 신속하게 과민반응을 나타내며 꼬리부위로 갈수록 과민반응이 점차로 감소된다.
일부 소에서는 전체머리부위에서와 마찬가지로 견갑부위, 등 및 허리부위에 대한 접촉검사에서 과민반응이 나타났다. 과민반응은 소가 머리를 흔들어 대고 검사자에 대해 머리뿔을 이용하여 방어자세를 취하는 형태로 나타났다(그림 3). 자극의 강도를 높여 갈수록 검사축은 코부위에 주름잡는 행동과 콧망울과 입술에 특이적인 움직임을 보였는데 이는 스크래피에 감염된 양에서 보여지는 "몸떨기"행동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침흘리기, 콧망울 핥기 횟수증가 및 이악물기도 흥분의 표시이자 BSE감염의 힌트가 된다.

□ 소음에 대한 과민반응
BSE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소음에 대해 불안증세를 보이는 것과 같은 과민반응도 포함된다. 소음검사는 박수치기, 문닫기 또는 금속성 물체를 고무망치로 두드리는 행위에 대해 소가 과민반응을 보이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보통 정상축에서는 기껏해야 경미한 반응을 보이며 이는 검사 첫회에 국한되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