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누구나 알고 있듯이 닭고기는 민족과 종교를 초월하여 유일하게 전 인류가 즐겨먹는 육류로서 타 육류에 비해 각각의 독특한 양념 맛을 쉽게 낼수 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각 민족고유의 요리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어 세계 어느 나라를 여행해도 그 나라 고유의 닭고기 요리를 맛볼수 있다. 특히, 미국 및 유럽 일본등 선진국에서는 최근 건강과 비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표적인 3저1고(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인 닭고기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그저 고기를 많이 먹고 싶었던 수준에서 고기의 질을 따져서 맛있는 부위만, 또는 맛있는 요리를해서 즐기는 수준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을 생각하고 칼로리를 계산하며 까다롭게 따져서 먹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가 어떤 제품을 찾고 있는지, 즉 소비자의 Need와 Wants는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 향후 제품소비의 Trend 소비자는 끊임없이 변하고 있으며 또한 변덕스럽기까지 하다. 따라서, 소비자의 Needs와 Wants를 잡아내기란 보통 어려운일이 아니다. 다만 분명한 것은 「만들면 팔리는 시대」에서 이제는「팔리는 제품을 만들어야만 된다」는 사실이다. 소비자의 소비 성향을 파악하고 예측하여야 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소비자의 Life Style에 대한 연구 분석이 필요하다. 일본의 경우 60년대에서 70년대까지만 해도 가족수가 4명미만인 핵가족이 중심을 이루었으나 80년대 후반부터는 가족 구성원이 2명미만인 단독가구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맞벌이 부부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식문화 및 소비 패턴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즉, 기존에 신선육상태 중심으로 팔리던 제품들이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수 있는 Ready to Cook(혹은 Ready to heat)제품으로 개발되고 점차 초간편화된 Ready to eat 제품으로까지 발전 되었으며 이제는 간편성은 물론 건강성을 증시한 건강지향 제품들이 계속 개발되어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선진국의 대형 매장에 가 보면 " Natunal(자연주의)" 이니, " 무첨가 제품 " 이니, Green 제품이니 하는 단어들이 무수히 눈에 띄는 것도 바로 이러한 소비자들의 건강지향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메이커들의 노력인 것이다. 또한, 제품구매 결정권자인 여성들의 고학력화로 제품의 위생문제와 안전성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각 제조회사에서는 ISO 인증이나 HACCP 같은 시스템을 많은 비용을 들이면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제품의 안전성이나 위생적인 면이 회사의 흥망을 결정할 만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향후 소비자들은 건강과 위생적인 면을 지향하면서 안전하고 맛있는 제품을 계속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3. 계육 시장에서의 소비패턴 우선 신선육 시장은 기존 통닭중심 시장에서 부분육이나 절단육 시장으로 빠르게 옮겨갈 것이며 역시 소비자들의 위생관념의 상승으로 출처불명의 벌크제품 판매시장에서 Brand가 있는 포장육 시장중심으로 소비가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통닭시장이나 부분 절단육시장을 막론하고 지금 일부 대형마켓에만 나와있는 셀레니윰치킨이나 DHA 치킨등 외에도 많은 종류의 기능성제품들이 출시되어 소비자들의 구매 선택권을 넓혀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계육가공제품은 소비자들의 건강지향 추세에 따라 그 소비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학교 급식시장에서 성장률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어린이들의 성장 발육에 필수적인 단백질이 제일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육류이며 비만걱정을 안해도 되는 육류인 까닭에 여러 가지 형태의 메뉴로 학교급식 식단에 올려져 어린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식단 메뉴로 자리잡을 것이다. 또한, 최근 젊은 여성들의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계속 되면서 주요 외식시장에서의 닭고기 가공제품의 소비도 큰폭으로 상승 될것이며 지금도 주요 외식업체 메뉴의 50% 이상이 닭고기 요리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 소비자 시장(Retail Market) 에서는 갈수록 높아지는 소비자들이 간편성 추구 추세에 따라 간편성과 맛을 강조한 제품들의 주류를 이룰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의 경우에는 TV 디너셋트(저녁에 퇴근하면서 사와서 마이크로 웨이브에 잠깐 데워서 음료수나 맥주와 함께 TV를 보면서 먹을수 있는 닭고기 셋트메뉴 - 옥수수와 으깬감자도 들어있음.) 같은 H.M.R(Home Meal Replacement) 제품들이 점차 판매량이 늘어나며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어 우리나라도 조만간 이러한 종류의 제 품들이 선보 일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대로 소비자들의 건강주의와 자연주의 추구 상황에 맞는 무첨가제품 및 기능성 제품들이 계속해서 개발되어지고 그시장이 갈수록 넓어질 것이다. 4. 유통시장 판도변화에 따른 소비자 구매성향 지금 우리는 유통시장 변화의 격변기에 살고 있다. 앞으로 4∼5년 이내에 우리의 유통시장 환경은 우리가 상상할수 없을 정도로 엄청나게 변화될 것이다.따라서, 이러한 유통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자 구매패턴을 신속히 파악하여 변화에 대응할수 있는 제품전략, 즉 마켓팅의 4P중에서 Produet 전략과 Place 전략과의 효율적인 Marketing Mix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지금보다도 더 세분화된 Market Segment 전략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제품종류 및 포장중량, 디자인, 가격등의 세분화와 차별화가 동시에 진행되어져야 할것이며 이에따라 지금까지의 Mass Marketing 전략에서 Micro Marketing 전략으로의 의식 전환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이러한 유통시장 변화와 이에따라 수시로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각 회사의 마케터들은 DB(Data Base) 마켓팅 C.R.M(Consumer Relationship Manegement → 고객관계 경영)이니 하며 머리를 싸매고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5. 결론 "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 라는 말이있다. 소비자들의 끊임없는 변화욕구를 정확히 읽어내고 그 변화에 적응하는 기업 및 제품은 살아남을 것이고 그렇지 못한 제품과 그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소비자들의 건강지향 및 비만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앞으로도 닭고기 소비는 타 육류에 비해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우리는 소비자들이 보다 간편하게 그리고 안심하고 닭고기를 즐길수 있도록 계속 연구개발하며 노력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