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중국 육우산업의 기술적 발전 이용실태 < ll >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3.12.08 16:03:56

기사프린트

육우산업 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또 하나의 지표는 출하율이다. 중국의 1999년 출하율은 33.76%로 선진 육우산업국인 미국의 36.52%에 비하면 약간 낮지만 세계평균에 비하면 50%이상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의 가축 수 당 고기생산 종합지수를 보면 세계평균과 비교할 때 근소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이유는 중국 황우의 낮은 도체무게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인 중국의 1인당 육우생산성은 세계 평균과 비교할 때 턱없이 부족하다. 중국은 돼지 사육수, 생산성 및 소비에 있어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중국 내 전체 고기생산 비율에 있어서 돼지고기의 생산성은 계속해서 감소해 오고 있는 반면, 쇠고기의 생산비율은 빠르지는 않지만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왔다. 2002년 중국은 소 두수에 있어서 인도와 브라질에 이어 3위였고, 육우생산 또한 미국과 브라질에 이어 3위를 유지하고 있다. 2005년도에 이르면 중국은 육우생산에 있어서 브라질을 훨씬 능가하는 세계 2위의 육우산업 강국으로 등장할 것이다.
■중국에서의 육우의 유전적 자원
중국이 가축을 기르기 시작한 역사는 7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중국 토착황우는 유전적 다양성이 아주 풍부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중국은 1947년에 이미 세계에서 4번째로 많은 가축 수를 가지고 있었다. 중국의 가축 수 증가는 중화인민공화국 탄생 후 약 35년 간 미미하였으나, 1984년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후원과 농가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인하여 가축 수는 급격히 증가했다.
옛날부터 중국황우는 자연적으로 혹은 인위적으로 농사를 짓기 위한 개체로 선발되었다. 1986년에는 “중국의 토착 동물과 가금류 품종”이란 책이 출간되기에 이르렀다. 이때, 최초로 28개 중국 토종 가축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5개의 유형의 황우들은 진천우, 남양우, 진남우, 산동우, 연변우이며 중국전역에 걸쳐 사육되고 있다. 중국 황우의 공통점은 모두 강한 어깨를 지니고 번식과 분만과정에 어려움이 거의 없으며 고기의 향이 풍부하고 비육우 마블링이 좋다. 또한 중국전역 어떤 기후환경에서도 적응력이 좋아 사육관리가 비교적 용이하다. 반면, 중국 황우는 후구 발달이 좋지 않고, 성장률과 우유 생산성이 좀 떨어지며 갈비심 면적이 작은 편이다. 1974년 영국으로부터 헤어포드(Hereford)종의 도입이 이루어진 이래 지금까지 28종류의 외국종이 도입되어 왔다.
2000년 중국의 가축 수는 약 1억 3천만 마리인데 이중 10% 미만만이 잡종이다. 중국의 가축들에 대한 분류방법 중 또 다른 하나는 생산성 별로 나누는 것인데, 약 90%이상의 가축이 고기나 혹은 고기와 농사를 위한 것이고 단지 10%정도만이 우유생산을 위한 유우들(홀스타인, 저지, 홀스타인과 저지 잡종)이다. 대부분의 중국황우는 고기 생산을 위한 종이라 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중국 황우의 도체무게가 단지 149㎏ 이기 때문이다. 이 수치는 세계평균에 비해 28.3%나 낮고, 미국에 비하면 이 보다도 훨씬 낮다. 이러한 생산성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선, 앞으로 중국의 기후환경에도 잘 적응하면서 빠른 성장률과 높은 번식률을 지닐 뿐만 아니라 좋은 품질도 함께 지닌 종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