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계부화업계의 종계 감축 노력이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채란업계는 새로운 추가수입물량에 대해서는 해당 종계·부화장의 공개 및 전 농가들과 연계한 불매운동은 물론 위탁도 받지 않는 등 강력히 대처키로 결의했다. 대한양계협회 이보균 경영지도팀장은 지난 5일 열린 채란분과위원회(위원장 심준식)에서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올해 산란종계입식이 이달의 8만5천수를 끝으로 마감, 올해 총 입식량은 지난해 50만4천3백15수에서 15.1%가 감소한 42만8천2백90수에 머물 것으로 집계했다. 그는 이에따라 산란실용계 생산잠재력 및 산란실용계 판매수수가 큰 폭으로 저하, 내년도 계란가격이 밝을 것으로 전망하고 "부화업체들의 종계 감축 자구노력이 성공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날 참석자들은 이같은 전망을 틈타 예상치 못한 산란종계 수입이 이뤄질지 모른다고 우려, "양계인들이 어려운 시기에 종계 감축이라는 큰 결단의 성과가 기대되는 마당에 새로운 업체의 물 흐리기를 보고 있을수 만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일부 관계자들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취를 감춘 품종을 싼값에 대폭 공급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고 말하며 "모처럼 찾아온 채란업계의 호기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최근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자구노력의 필요성에 공감, 대책마련에 부심했다. 심준식 위원장은 난가현실화 실현 방안을 언급하고 계란유통상인들의 담합에 휘둘리는 잘못된 유통구조에 대해 성토, "계란을 버리는 한이 있더라도 시세 이하로는 팔지 말자"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