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자조금활동자금 설치를 위한 공동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원회)가 지난 8일 자조활동관리위원회 위촉 및 구성인원수 등 대의원회 개최의 걸림돌이 돼 왔던 핵심쟁점에 대해 극적 합의함에 따라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전개하기 위한 한 고비는 넘기게 됐다. 그러나 이날 합의안은 결과적으로 관리위원회의 위원에서 부터 감사, 의장에 이르기까지 양돈협회와 농협 두단체에 대한 ‘배분식 구성’이라는 눈총을 피하기는 힘들게 됐다. 따라서 공동준비위원회의 소멸에도 불구, ‘양돈자조활동 관리위원회’ 역시 당분간 ‘공동’ 이라는 꼬리표를 떼어내지 못하는 아쉬움을 남긴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날 다소 긴장된 분위기속에서 대의원회 진행 시나리오에 따른 협의안건 논의에 돌입한 준비위원회는 결국 예상대로 관리위원 위촉방법 결정에 이르러 양돈협회와 농협이 극명한 입장차이를 보이며 갈등이 극에 달했다. 양돈협회측은 김건태 공동위원장을 위시해 김동환·최영렬 부회장 및 송정기 전북도협의회장이 일관적으로 “관리위원은 민의를 최대한 반영,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선정돼야 바람직 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관리위원 선출은 대의원회의 권리인 만큼 준비위원회가 그 권리를 박탈하는 것은 있을 수 없을 뿐더러 대의원들도 용납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송건섭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농협중앙회 양돈양계부 나상진 부장 등은 “양단체 공동 운영의 입법정신에 의거 합의를 통해 같은 비율대로 관리위원을 동수 추천해 대의원회에서 추인받아야 한다”고 맞섰다. 또한 “관리위원은 선출이 아닌 ‘위촉’인데다 전문성과 능력이 검증된 양돈인들로 구성이 돼야 하는 만큼 양단체간 사전 합의에 의한 추천 형태가 당연하다”며 의견을 꺽지 않아 회의는 공전을 거듭했다. 이같은 공방이 지속되자 “위촉은 임명에 가까운데다 당일 대의원들의 선거도 비현실적인 만큼 사전 조율에 의한 대의원회에 추천방법이 바람직하고 권역별 동수 추천도 법취지상 옳지 않다”는 유권해석을 내놓았던 농림부 관계자는 “대의원들이 다 양돈인인데 도대체 농협파 양돈협회파가 말이 되는 소리냐”고 이의를 제기하며 양측의 합의도출을 종용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박종수 충남대 교수와 김강식 한국육류수출입유통협회 회장 등 준비위원들과 참관자격인 박영인 박사 등이 “관리위원수가 1명인 곳은 대의원회에 맡기되 2명씩 배정된 지역의 경우 양단체간 합의하에 추천을 하자”고 제안, 양단체는 30분 이상 정회시간을 가지며 최종적으로 의견 조율을 거친 끝에 마침내 극적 합의에 도달하게 됐다. 송건섭 위원장은 “서로 만족은 못하지만 어려운 입장에서 이번 합의를 도출해 냈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이를 통해 대의원회를 축제의 장이 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양돈협회가 전국의 각지역에 1인씩, 농협측은 2인의 관리위원이 배정된 지역의 1인을 각각 추천키로 함에 따라 논란의 소지를 남겨두게 됐다. 더욱이 대의원들이 이러한 합의안에 반발, 양단체가 위촉한 관리위원회 위원 등에 대한 인준을 거부할 경우 엄청난 파장을 가져올 수 가능성도 배제치 못하는 실정이다. 실제로 나상진 부장이 “이렇게 밀어붙이면 되겠느냐”며 결과에 불만을 드러낸 가운데 김건태 위원장은 특정위원까지 거론하며 “이번일에 대해 분명히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대해 뜻있는 업계 관계자들은 아직도 자조금 사업 추진까지 많은 과제가 남아있음을 지적, “자조금 사업과 이를 운영하는 관리위원회는 기존 단체들이 아닌 양돈인들이 주체가 되도록 진행돼야 한다”며 “기존 단체들은 자조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역할에만 충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