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2일 의사 고병원성 가금인플루엔자 발생 공식 발표와 함께 곧바로 방역조치에 나선데 대해 업계 및 수의전문가들은 질병 방역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던 것으로 긍정평가 했다. 더욱이 정부가 EU의 방역지역별 조치와 비교해 일정부분에 대해서는 한차원 강화된 대책을 전개해 온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방역조치 돌입후 중앙정부와 해당 지방자치단체간 엇박자가 표출, 일부 허점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여기에 지난 13일 대책회의에서 모아진 의견을 토대로 한 방침이 하루만에 번복되는 사례도 있는데다 지난 16일 중앙가축방역대책협의회의 결과, 위험지역내 종오리 농장에서의 의사 고병원성 가금인플루엔자 발생 확진에 따라 오리를 중심으로 방역대책이 또다시 대폭 강화되면서 가금업계에는 적지않은 혼선을 유발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 엇박자 고병원성 확진이 이뤄지기 전인 지난 13일 농림부의 의사 가금인플루엔자 방역대책협의회는 충북도 관계자도 참석했으나 위험지역(3km)내에 종계·부화장과 도압장에 대한 집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날 대책 자체가 굳이 처음 발생지역에만 국한하지 않고 앞으로 추가발생된 지역에도 적용한다는 계획에 따라 위험지역내 부화장에 대해서는 '폐쇄'로 잠정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충북도는 다음날 위험지역내에 부화장과 도압장이 소재한 것을 발견했으면서도 부화장은 물론 당시 농림부 확인하에 새로이 지침이 내려간 도압장 역시 폐쇄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충북도의 한관계자는 "의사 발생 발표 상황인데다 부화장과 도압장이 누락된 것은 고의가 아닌 실수"라고 전제, "구체적 방역조치는 도지사 책임하에 이뤄지는 상황에 부화장의 경우 직선거리로는 위험지역내에 있으나 지형지물등을 감안해 경계지역으로 조치했다"고 밝혔다. 도압장과 관련해서는 통제에 따른 보상 가능성을 배제치 못하는 상황에서 정식 공문이 아닌 구두지침만으로 실행에 옮기기는 곤란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같은 배려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부화장 자체가 당분간 생산되는 병아리를 폐기키로 결정하는 기이한 현상이 전개되기도 했다. 또한 도압장의 경우 지난 15일 각 언론에서는 일제히 폐쇄된 것으로 보도됐으나 정작 도압장측은 이같은 사실을 전혀 모른 상태였고 중앙정부 역시 확실한 결론은 미룬채 16일 회의에서 최종결정할 것이라는 방침만 밝히고 있었다. 결국 이 기간동안 위험지역내 도압장은 방역대책의 사각지대로 남아있을 수 밖에 없었다는게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 대책변경 지난 13일 대책회의에 참석했던 관계자들은 모두 위험지역내 생계는 원칙적으로 외부반출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 15일 농림부측은 생계는 물론 병아리도 방역관의 인정하에 위험지역외로 반출이 가능하다고 밝혀 상반된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상황에 지난 16일 대책회의 결과 오리를 중심으로한 방역대책이 대폭 수정, 업계가 혼란을 겪기도 했다. 이날 회의에서 대다수 수의전문가들은 해외 발생사례 등을 지적하며 "질병의 확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더욱 강화된 방역대책이 필요할 뿐 아니라 특히 내성이 강하고 임상증상이 적은 오리에 대해 집중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는 시각을 강하게 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지정도축장으로의 출하를 조건부 허용했던 위험지역내 사육오리는 모두 폐기처분하되 경계지역내에서 사육되는 것은 시범도축후 상태를 일정기간 지난후 반출이 가능토록 해야한다는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져다. 또 방역관 지도감독하에 가능했던 오리종란도 모두 폐기처분될 전망이다. 3km미터 이내 닭 부화장의 경우 위험지역이 해제될 때 까지 사실상 폐쇄조치가 확정됐다. 이에대해 업계관계자들은 "뒤늦게 나마 방역조치가 강화된 것은 다행한 일"이라면서도 "다만 이같은 혼란기에 만약 어떠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엔 누가 책임을 지는 것이냐"고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특히 일각에서는 지난 15일 오후 의사 고병원성인플루엔자로 확진된 위험지역내 종오리 농장의 경우 잠복기간 등을 감안할 때 실제 감염이 최초 발생 종계장 보다 앞서 이뤄졌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럴 경우 예기치 못한 파장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