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떳떳하게 자랑할 수 있는 돼지농장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갈수록 강화되는 환경규제와 민원, 그리고 수익성 악화는 양돈장 운영을 점점 힘들게 하고 있지만 양돈산업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젊은 양돈인이 있어 희망은 있다.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에서 1천5백두 규모 진철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최영길 사장도 양돈산업을 이끌어 나갈 젊은 양돈인 중 한명으로 새해 희망과 포부가 남다르다. 최 사장은 87년 천안연암대(구 연암축산원예대학) 졸업직후 한일농원에서 6개월정도 현장경험을 쌓고 곧바로 양돈업에 뛰어들었다. 20대 초반의 젊은 패기로 무작정 양돈업을 시작했지만 성공은 그리 쉽게 잡히지만은 않았다. 거듭되는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양돈업을 시작하고 10년 만에 규모는 크지 않지만 생산성면에서는 안정화 됐다. 97년에는 농장 생산성도 전국 최고 수준에 도달하며 PSY 24두를 넘어서 주의에 이목을 집중시켰다. 때문에 모 사료업체에서 ‘우수농장’으로 선정되며 각종 세미나에 성공사례 발표자로 초청되기도 했다. 그러나 최 사장은 경영분석을 해본 결과 과연 농장 생산성 높다고 해서 반드시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때문에 최 사장은 생산성은 일정수준을 유지하되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최대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중이다. 또 끊임없는 연구와 교육을 통해 좀더 발전적인 농장 운영을 위해 노력 중에 있다. 이와 함께 최 사장은 앞으로는 농장수익만으로는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에서 수익의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예를 들어 농장들도 유통의 일정부분에 참여한다던지 유기농산물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를 축분비료 판매와 연계시킬 수 있는 방안과 농장과 주의 환경을 조화시킬 수 있는 조경을 함께 경영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 중에 있다. 이처럼 수익 다변화를 통해서만이 요즘같은 양돈불황이 장기간 지속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양돈장을 경영할 수있다는 것이 최 사장의 주장이다. 또 이를 통해서만이 미래에 대한 소득이 보장될 수 있고 양돈업을 시작하려는 후배들에게 귀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농장 운영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자신감이 있지만 한가지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들 범주(12세)와 범식(9세)이가 또 아내 이경옥씨(36세)가 자랑스러워하는 아빠, 남편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사진2> 아이들이 아빠가 하는 돼지농장을 자랑스러워하고 먼 훗날 대를 물려받을 수 있는 농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중이란다. 특히 지금 국내 여건상 양돈장을 한다는 것은 주위의 눈총 받기 일쑤고 죄인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아이들이 아빠가 돼지농장 하는 것에 대해서 부끄러워하는 면이 없지 않다며 자랑스런 아빠가 되는 것이 최 사장은 작은 바램이다. 이를 위해 사회봉사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6년전부터 포천지역 축산농가, 유통업체 관계자들 모여 활동하고 있는 소년소녀 가장을 돕는일에도 적극 참여하며 사회봉사활동하고 있다. 최영길 사장 같은 젊은 양돈인이 있기 때문에 급변하고 있는 양돈산업이 아직도 희망을 버릴 수 없는 이유일 것이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