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중국 육우산업의 기술적 발전 이용실태 <Ⅴ>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4.01.12 17:16:21

기사프린트

육우산업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향은 사료작물의 작부체계를 새로이 확립하는 것으로, 초지 와 산림과의 조화를 이룬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중국의 중앙정부는 지난 5년 동안 지속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토지를 산림과 초지로 전환시키는 일에 주력해 왔다.
중국의 광대한 초지면적은 앞으로 육우산업, 특히 송아지 사육산업의 전망을 아주 밝게 한다.
지금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농후사료 중심의 효율적 비육장 사육방식을 택하고 저비용 생산체계인 초지방목 중심의 사양방식이 덜 이용되고 있다.
세계 두 번째 초지면적을 지니고 있는 중국은 앞으로 이러한 풍부한 초지면적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운영하느냐에 미래 중국 육우산업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서비스 체계
중국전역에 걸친 가축번식 및 건강 운영체계는 1960년대부터 출범되었지만, 육우 산업의 활성화되기 시작한 1980년대 이전에는 이러한 운영방식이 양축가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했다. 시장경제 체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육우산업의 경쟁이 본격화되고, 품질 및 육우산업에 관련된 서비스 체계에 더욱 의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육우산업이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선 이에 대한 연구, 현지 기술적용, 서비스 체계운영, 관련단체 및 양축농가 등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통합운영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공공교육
육우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선 육우와 육우산업의 중요성에 대해서 사람들에게 교육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국에서 쇠고기 소비의 증가는 육우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좋게 변화하기 시작한데서 출발한다. 쇠고기가 고품질 영양가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과 육우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이 요즘 방송매체를 통하여 과거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게 홍보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쇠고기에 대한 인식이 급속히 좋아지고 있다.
■중국 육우산업의 밝은 미래
중국 중앙정부의 동물산업에 대한 정책을 살펴보면 육우산업에 대해서 꽤 밝은 전망을 내어 놓고 있다.
중국 정부는 동물산업을 생태적, 사회적, 경제적 및 환경적 중요성의 관점에서 전략적인 발전방향을 세우고 있다.
2002년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은 전체 육류생산의 66%를 차지하였는데, 앞으로는 50%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돼지가 곡물을 소비하여 인간의 주식과 경쟁이 더욱 심화될 수 있고, 사람들이 점점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서 돼지고기의 소비를 둔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육우산업은 지금까지 이룩한 선진 육종기술, 사료가공 기술, 식품위생 조절 가공 기술과 가축의 방목 이용관리 경험 및 교잡육종 체계 등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소비자의 만족을 성취시키는 방향으로 급속히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