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칠레FTA 비준안 처리를 위해 대통령이 직접 나서 농민단체 대표들을 설득하는가 하면 국회를 방문 비준안 처리 협조를 구하는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준안 처리’는 내달 9일로 미뤄졌다. 노무현 대통령은 한·칠레FTA 비준안 처리를 위해 지난 6일에 이어 7일에도 농민단체 대표들을 만나 “어렵고 힘들지만 문을 열어야 될 것은 열어야 된다”면서 “전체적으로 농업은 다 지킬 수 없지만 우리 농촌은 꼭 지키겠다”며 예산과 정책에 있어서의 철저한 후속대책을 약속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농업농촌대책과 관련, “농림부 장관 주장이 시장원리에 안 맞거나 투자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공격을 받았으나 안을 만들고 설득해서 대체로 농민들이 요구하는 것은 다담으려고 노력했다”며 “예산액수와 여러 가지 정책 가짓수, 아이템 등이 거의 수용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지금까지 농정은 농민들에게 물어보고 입안해 왔지만 앞으로도 농민들의 검증을 거쳐 추진되도록 하라”고 배석한 허상만 농림부 장관에게 지시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농사나 농산물 유통조직 개선, 농정을 움직이는 것이 다 사람이 하는 일이므로 성공할 수 있도록 농민단체에서 힘을 모아 함께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노 대통령은 또 “가능성 있는 방안이 있다면 정부가 반드시 투자해 농업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10년 뒤 농촌의 모습은 현재 우리가 하기에 따라 새로운 신화를 창조할 수도 있는 만큼 지혜를 모아 나가자”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준구 농단협회장과 유동준 농단협 후원회장, 김건태 양돈협회장, 남호경 한우협회장을 비롯 16개 단체장이 참석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박관용 국회의장에게 전화를 걸어 8일 처리를 당부한데 이어 8일에는 박의장과 한나라당 최병렬대표, 민주당 조순형대표, 열린우리당 김원기 공동의장을 만나 “정부가 농업보호대책을 철저히 세울테니 국가신인도와 경제문제 등을 감안, FTA비준안을 조속히 처리해 주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국회는 8일 본회의를 열어 한·칠레 FTA 비준 동의안을 놓고 무기명 비밀 투표 방식으로 표결을 시도했으나 각당 농촌 출신 의원들의 표결저지로 무산됐다. 이에 따라 박관용국회의장은 “2월 9일 임시국회 본회의에서 비준안을 처리하는 것을 전제로 오늘은 처리하지 않겠으나 정부는 앞으로 한달여간간 비준안 처리를 위해 농민들을 설득해야 할 것”이라며 산회를 선포했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