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축산정책 사업에 지원될 살림규모는 총 1조5천76억6천3백만원. 여기서 지원되는 축산사업중 보조사업은 어느 것이고, 융자사업은 어느 것인지 살펴본다. 편집자 ◆보조사업 △원유수급조절사업에 5백78억9백만원이 지원되고 △축산물수급조절 사업에 5백억원 △송아지생산안정 1백24억3천6백만원 △학교우유급식 1백48억5백만원 △가축개량사업소 2백66억8천만원 △종축등록 4억7천6백만원 △돼지검정사업 3억6천1백만원 △닭검정사업 2억6천7백만원 △가축질병근절 1백94억3천7백만원 △가축공제 1백44억2천7백만원 △축산자조금 1백2억5천만원(한우 8억, 양돈 45억, 양계 25억, 오리 2억5천만, 양록 1억원 △축산종합컨설팅 7억1천만원(경영컨설팅 5억, 환경개선 2억1천만) △등급판정소지원 78억2천4백만원 △식육교육센타 3억9천4백만원 △조사료생산(보조 50%) 1백21억8천7백만원(사료작물 72억5천1백만, 볏짚처리 18억8천2백만, 초지 7억, 생산장비 12억5천4백만, 총체보리 11억) △경주마생산(보조 50%) 3억5천7백만원 △사료검사장비 7억8천2백만원 △다산장려금: 지원중단 △축산물공판장: 지원중단 △한우품질고급화장려 40억9천2백만원(한육우 품질에 따라 20만∼30만원/두, A1+, B1+: 30만원, A1, B1 : 20만원) △송아지생산 24개소 15억6천만원 △유기축산시범 5억원 ◆융자사업 □가축개량 및 경영개선 △집유일원화사업: 사업중단 □축산물유통개선 4천97억6천7백만원 △축산물가공시설지원 3백57억7천4백만원, 3년거치 7년분할상환 (도축시설 73억5천만 융자 40% 금리 4%, 가공시설 1백78억5천2백만 융자 70% 금리 4∼5%, 시유가공시설 1백7억5천4백만 융자 70% 금리 5%) △축산물가공시설운영자금 9백33억3천8백만원, 1년일시상환(LPC 등 경영안정자금 2백22억8천만 융자 70% 금리 4%, 도매시장·공판장 50억3천2백만 융자 70% 금리 도매시장 5.5%, 공판장 금리 4%, 오리도축장 18억9천1백만 융자 70% 금리 5.5%, 계란등급시설 31억5천만, 융자 70%, 금리 5%, 육가공업체 3백75억9천만 융자 70%, 금리 4%, 도축장 150억 개소당 5억원 금리 5%, 한우유통추진체 78억7천5백만 융자 70% 금리 4%) 축산물판매시설현대화 1백75억원 식육판매시설 지원 개소당 5억원 기준으로 융자 70%, 3년거치 5년균분상환, 5∼5.5% △축산물판매시설운영: 사업중단 △산지축산물생산유통지원 1천6백31억5천5백만원, 융자 80%, 금리 3% △자율수급조절 1천억원(양돈 5백억, 양계 5백억), 융자 1백%, 금리 0% △규격축산물출하촉진: 사업중단 □사육기반확충 9백12억9천6백만원 △경주마생산 13억9천2백만(제주마혈통 보전 및 조련시설 등 지원에 보조 3억5천7백만, 융자 13억9천2백만, 융자 70%, 금리 4%) △조사료생산기반확충 33억7천만(초지조성비 등 지원에 보조 1백21억8천7백만, 융자 33억7천만, 사료작물재배 보조율 40%, 볏짚처리 보조율 40%, 초지조성 융자 50% 금리 4%, 기반시설 장비 융자 80% 금리 4%, 조사료생산장비 연결체 보조 30% 융자 80%, 총체보리재배 보조 60%) △가축계 열화 3백91억5천3백만원 (돼지 2백36억5천3백만, 닭 1백55억원 시설자금: 융자 70% 금리 4%, 일반 5%, 사육비: 융자 50% 금리 5.5%) △사료사업지원 3백12억1천3백만원 (사료제조시설 지원 융자 70% 금리 5%, 사료원료구매자금 융자 1백% 금리 5.5%) △송아지생산기지조성 31억6천8백만원(시설사업비 지원 보조 20% 융자 40%, 금리 4%) △축산업등록지원 1백30억원 융자 80% 금리 3%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