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구촌 독감바이러스 정복 눈앞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4.02.02 15:38:27

기사프린트

<사진1>
가금인플루엔자에 대한 관심이 축산업계 최대현안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국내 축산업체가 최근 학계와 연계하여 면역강화제 ‘베타 글루칸’으로 독감바이러스 정복을 위한 시험연구에 나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화제의 기업은 서울 송파구 가락동 98-4번지 (주)엔바이오테크놀러지(대표 문원국). 1992년 12월 자본금 83억원으로 설립된 이 회사는 1993년 4월 아산TMR공장을 설립하여 1999년 8월 연매출 1백억원 달성에 이어 2000년 6월 벤처기업 등록, 2001년 6월 코스닥 등록 등 도약기를 거쳐 성장기로 접어들었다. 생산제품은 기능성사료를 비롯 기능성식품과 화장품인데 지난해 매출액은 2백75억원였으며 순이익은 10억원이다.



<사진2>
이 회사가 근년 들어 주력하여 생산하고 있는 제품은 지난 2001년 개발에 성공한 천연면역강화제 ‘베타 글루칸’이다. 이 면역강화제는 그동안 수많은 동물실험으로 항암 및 면역부문에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에는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채찬희교수팀이 SARS의 원인균인 코로나 바이러스와 독감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실험을 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후 36시간까지 전혀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서울대 채찬희교수는“독감바이러스는 6가지가 있는데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돼지독감바이러스에 대해, 12월에는 조류독감바이러스에 대해 각각 세포를 갖고 증식여부를 살펴보는 실험을 했다”면서“그 결과 베타글루칸은 체내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바이러스에 대한 강력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고 말했다.
바이러스 질환은 증식초기에 감염시 그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할 때 베타글루칸은 독감 및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억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조류에서 유래한 독감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에서도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나타나 최근 대기업 사료회사들은 베타글루칸을 사료첨가제로 이용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발생된 가금인플루엔자(조류독감)는 1월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 동남아 9개국에서 발생되어 관련국의 관계자들은 지난 28일 태국에서 긴급회의를 개최하는 등 발생지역 확산방지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방역당국이 가금인플루엔자 발생 억제를 위한 시험연구에 베타글루칸 등을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문원국대표는 “최근 전 FDA 국장 출신인 프랭크영 박사와 존스홉킨스 의과대학교수인 데이비드 시드란스키박사를 각각 회장과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영입한 것은 FDA 임상실험과 면역강화제 수출을 위해서”라고 말했다.
엔바이오테크놀러지는 지난해 미국 암진단 기술 개발회사인 캔젠사와 1백80억 규모의 상호출자를 통한 사업제휴를 체결, 암조기진단기술인 MSA의 아시아 독점 라이센스를 확보하는 등 암진단 기술부문으로 사업규모를 확장하여 이목을 집중시켰었다. MSA는 소변 한 방울로 방광암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신기술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캔젠사는 FDA 승인 이후 2005년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데 엔바이오테크놀러지는 이 회사의 대주주라고 한다.
엔바이오테크놀러지는 오는 5월 오창 GMP 공장을 준공할 예정이다. 대지 3천평·연건면적 1천5백평·총 사업비 87억원이 투입되는 이 공장은 우수제조기준(GMP)과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등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선진국형 첨단시설을 갖추어 매년 수백억원의 건강기능성 식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엔바이오테크놀러지는 2002년 7.8%였던 TMR시장 점유율을 오는 2008년 15.0%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동물자원사업부 매출목표액은 지난 2003년 2백26억원에서 2005년 3백25억원으로, 2010년 4백58억원으로, 2013년 5백31억원으로 각각 끌어올릴 방침이다.
문원국대표는“올해 오창 GMP공장 준공을 계기로 또 다른 도약의 발판을 다지어 나가겠다”면서“올 매출 목표와 순이익은 각각 5백50억원, 50억원으로 계획했으며, 주가는 올 연말까지 1만원 이상으로 끌어올리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용환 ywcho@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