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부터 모돈갱신사업에 따른 공급모돈 기준을 강화한데 대해 종돈업계가 국내 현실을 감안한 단계적 적용을 요청하고 나섰다. 종돈업계에 따르면 경기도는 올해 3만1천3백두에 달하는 우량모돈갱신사업을 실시한다는 방침아래 총 31억3천만원을 투입, 농가들에게 두당 10만원씩을 보조지원하고 있다. 그러면서 공급모돈 조건에 한국종축개량협회가 발행하는 혈통등록증 제출시 부모의 PSS유전자 미보유여부와 동복자돈수 생년월일, 품종, 이표번호외에 올해부터는 산육능력검정실적 기록을 새로이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종돈업계는 국내 종돈장들 대부분이 F₁을 생산하는 부돈과 모돈에 대해서는 능력검정을 실시하지 않고 있어 이번 경기도의 모돈갱신사업 참여가 가능한 농장은 사실상 극소수에 불가할 것이라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종돈업계의 한 관계자는 “경기도의 이번 방침은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필요한 것도 사실”이라고 전제, “그러나 종돈장의 모돈에 대한 능력검정은 이제 시작단계인데다 능력검정돈이 1백%인 곳은 손에 꼽을 정도인 만큼 현실은 고려되지 않은 이상적 조치”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돈콜레라와 구제역 발생시에는 두달이상 검정요원의 농장출입이 불가능, 검정을 희망해도 받을수가 없었다”며 “굳이 모돈갱신사업을 위해서가 아니라 농장검정이 의무화된다고 해도 단시간에 전수에 대해 실시하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종돈업계는 이번 경기도의 공급모돈에 대한 조건 강화방침이 재검토가 이뤄지되 단계적인 적용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럴경우 단순히 산육능력검정 여부 뿐 만 아니라 그 성적이 일정이상되는 부모돈에서 생산된 모돈만 사업대상으로 하는 방법이 적용되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관련 한국종돈업경영인회(회장 한백용)는 조만간 경기도를 방문, 이같은 입장을 밝힐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경기도측은 사업취지를 감안할 때 이번 방침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경기도의 한관계자는 “모돈갱신사업은 단순히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준다기 보다는 생산능력 향상 및 고품질 돈육생산은 물론 종돈개량도 도모하기 위한 것인 만큼 부모에 대한 능력이 객관적으로 검증된 모돈공급이 당연한 것”이라고 밝혔다. 광우병 등 질병발생으로 인해 생산이력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다 축산업등록제와 관련 농장검정을 대폭 강화하는 법령 추진도 같은 맥락이라는 것이다. 그는 특히 “종돈업계의 우려대로 능력검정돈이 부족할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며 “부족하다고 해도 실적만 채우기 위한 무리한 사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관계자는 다만 종돈업계의 요구에 대해 “농장검정과 관련한 시행령 규칙의 확정 추이를 일단 지켜보고 있다”고 전제, “그러나 도의 자체 사업인 만큼 이를 반드시 쫓아가겠다는 것은 아닐 뿐 아니라 종돈업계와 협의에 나설수 있다”고 밝혀 개선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이일호 L21ho@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