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과장은 “전략작목의 또 다른 축인 돼지의 경우 모돈갱신사업과 규격돈 출하장려금 지원등을 통해 고품질 돼지고기 생산에 역점을 두고 있다”며 “흑돼지도 소비지에서의 인지도 정착에 주력, 전체적으로 강원도 돼지고기 브랜드가 시장에서 안전하고 품질에서 인정받도록 부각시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질병의 철저한 차단방역과 예방으로 강원도 최대의 자산중 하나인 ‘청정이미지’를 지키는 것도 올해 축산정책의 핵심과제”이라고 설명한 홍 과장은 “소비자가 강원지역 농장을 찾을 때 목가적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도록 목장환경 정비사업에도 심혈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홍 과장은 “깨끗하고 아름다운 환경에서 안전축산물이 생산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우리 소비자들이 국산 축산물의 안전성을 믿고 찾을 수 있도록 강원도가 앞장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홍 과장은 또한 “산악지대인 강원도 기후환경에서 자란 한우는 남부지방에서 키울 경우 성장률이 높다”고 설명하면서 “강원형 한우를 개발, 한우브랜드화에도 심혈을 기울이는 한편 전국 한우농가를 대상으로 우량밑소를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하루속히 갖춰 나갈 방침”이라고 소개했다. 초음파검정대회에서의 성적이나 각종 한우평가대회에서 강원한우가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배경에는 이 같은 특성이 있다며 우량밑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기반 구축을 위해 선발, 육종에도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 과장은 정액으로 차별화한다는 것은 사실상 의미가 없는 만큼 강원형 한우 개발에 박차를 가해 근본적인 차별화의 전형을 보여주겠다는 의지를 내비췄다. 홍 과장은 “현재 정액, 유전자원 공급 구도로는 혹시라도 있을 불합리한 상황 발생시 대비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강원형 한우가 개발되면 이 같은 상황도 충분한 대비가 가능한 만큼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관심과 지원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