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과장은 “재난적 질병으로 축산농가는 물론 관련산업까지 극심한 피해를 입는 상황에서 하루속히 바이오 축산 기반을 조성해야 양축농가들의 경쟁력도 확보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현재 충북개발연구원에 용역, 연구중인 충북 바이오축산 육성계획 결과가 나오면 ‘충북형 축산업’을 일궈내겠다”고 소개했다. “도내 위치한 충주댐, 대청댐등으로 인해 축산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받는 현실에서 상대적으로 타 도보다 규모에서 뒤지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하는 조 과장은 “작지만 알찬 축산업을 가꾸어 나가기 위해 올해는 소프트웨어 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축산시책을 진행시켜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조 과장은 이어 “전액 지방비를 투자해 중점사업으로 진행중인 한우 암소 DNA-Marker 검사를 통해 체계적인 육질개량으로 번식핵군계통을 조성해 충북한우 브랜드 육성기반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조 과장은 “이 사업의 근본적인 목표는 충북형 한우를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과장은 또 “원유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낙농가들이 경영고통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젖소에 한우수정란을 이식하는 사업을 도에서 적극 지원해 낙농가들은 소득증대는 물론 한우개량 촉진 및 한우기반 확대 효과도 노리겠다”고 소개했다. PSS 유전자 없는 돼지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양돈농가에게 전폭적으로 액상정액을 공급하고 있다고. “축산도 바이오로 가자”는 조동백 과장. 바이오산업으로까지 축산업이 발돋움된다면 질병·환경문제는 당연히 해결될 수 있을 것 이라는 설명이다. IT산업에 이어 차세대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BT산업으로까지 축산업을 발전시키자는 조 과장의 ‘바이오토피아’에 대한 열정이 축산인들에게 당면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친환경축산을 뛰어넘는 새로운 경쟁력 제고 방안으로 자리할 것을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