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업계에 대한 정부의 긴급 경영자금 5백억원 추가 지원 방침에도 불구하고 담보여력을 상실한 일선 현장에서는 그 혜택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융자 형태로 이뤄지는 이번 경영자금 역시 사용을 희망하는 농가나 계열화업체들은 지원 규모에 상응한 담보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가금인플루엔자 발생 이전까지도 극심한 장기불황에 따른 경영난에 허덕여온 상황에서 대부분 농가들이나 계열화업체들로서는 담보능력이 바닥난 상황인데다 신용도 악화, 자금지원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어서 현실적인 지원대책 마련을 주장하고 있다. 육계계열화업체의 한 관계자는 “관할 시청과 농협측에 알아본 결과 담보능력이 없으면 이번 경영자금지원을 받을 수 가 없는 실정”이라며, “자금능력이 없어 어려운 곳을 대상으로 지원한다면서 일반금융권과 같은 담보조건을 요구한다면 긴급경영자금으로서의 의미가 있겠느냐”고 불만을 털어놓았다. 이회사는 자금신청 마감인 지난달 27일까지도 신청을 하지 못한채 사실상 자금사용을 포기한 실정이다. 오리영농조합법인의 한관계자도 지난 1일 “장기간 적자가 누적되면서 그동안 가능한 모든 담보를 동원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사료여신은 한도를 넘어섰다”며 “일단 농협이 발부한 신용조사서 등을 첨부 신청은 해보겠지만 부채비율이 높은 상황에서 별도의 담보제공을 하지못하는 만큼 자격심사 단계에서 제외될 것이 분명하다”고 한숨만 내쉬었다. 자금집행을 담당하고 있는 일선 농협의 한관계자는 이같은 지적과 관련 “긴급경영자금과 관련해 담보조건에 대한 문의나 답답함을 호소해 오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자금회수 책임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 어려운 실정만을 감안해 무작정 지원을 해줄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난색을 표명했다. 이에따라 가금업계는 정부의 긴급경영자금이 일선 현장에서 당초 취지에 맞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공적자금 형태로 전환하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업계 일각에서는 관련업체나 농가들이 안고 있는 고금리의 대출금을 이자부담이 적은 경영자금으로 대체하되 자금집행기관에서는 기존에 해당 금융권에 제공된 담보를 확보할 경우 농가나 업체의 경영난 해소에도 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리스크 위험을 최소화 할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이일호L21ho@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