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자재 농협계통구매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사)한국축산시설환경기계협회는 원활한 계통구매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조합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어서 향후 협회가 조합으로 전환 또는 재출범 할것인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행대로 협회에서 계속 추진시 축산기자재 구입자인 양축가의 금리부담이 크고 공급자인 업체들은 높은 수수료로 마진폭이 적어 대리점을 통해 공급하던 제품에 대한 영업방향을 재수립하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농기계의 경우 구입자인 농민에게 지원되는 정책자금이 영농 자금으로 적용되어 금리가 연4.5-5%인데 비해 축산기자재 구입시 정책자금을 받기 어려워 연8-9%의 고금리를 적용받게 된다는 것이다. 또 상환기간도 영농자금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1년거치 5년 또는 7년 균등상환인데 비해 일반대출일 경우에는 그러한 조건으로 대출이 어려워 양축가의 부담이 더욱 커진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축산기자재의 품질향상과 안정적인 제품 공급을 위해서는 품질검사제도가 도입하여야 하는데 현재의 협회로 운영은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협회는 또한 영리사업에 한계가 있는만큼 조합으로 전환해야 영리사업 및 공동구매를 통해 조합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것이 관계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이에 따라 협회 내부적으로 조합으로의 전환 구상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2월에 개최되는 정기통회에 조합의 안건을 제시할 계획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사료나 동물약품 등 축산관련 업계의 경우는 협회와 조합이 상존하고 있는 점을 감안, 기자재 산업의 경우도 협회와 조합이 상존하면서 기자재 산업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박윤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