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형 태 /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 녹용의 신비스런 효능에 힘입어 우리나라의 녹용 수요는 해마다 증가하여 전세계 녹용 생산량의 80% 이상을 수입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슴사육 두수도 매년 20%이상 빠르게 증가해 1999년 현재 약 25만두(세계 4위)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양록산업은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사양체계나 전문사료도 없이 양록인들의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발전해 왔으나, 주요 생산품인 녹용의 낮은 생산성과 높 은 생산비로 국제 경쟁력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있다. ¶ 사슴 사육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녹용 및 녹각의 수입량은 계속 증가하여 많은 외화가 낭비되고 있으므로 녹용을 자급할 수 있는 생산기반의 확립이 요망된다. 또한 현재 국산 녹용 가격은 수입 녹용에 비해 4∼5배 높기 때문에 외국산 녹용과의 가격 경쟁보다는 국산 녹용의 품질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밖에 없다. ¶ 뉴질랜드에서는 양록산업의 효율성을 인정해 사슴사육 및 생산에 관한 규정을 만들어 양록산업을 정책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카나다에서도 농업경영의 다변화 측면에서 양록산업을 신종산업으로 육성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녹용의 생산과 가공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Suttie, 1991). ¶ 국내에서의 사슴에 관한 연구는 표본조사에 의한 지역별 사슴사육 실태 조사 등의 기초적인 수준으로 녹용의 성장 및 성분형성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 특히 사슴 품종별 영양소요구량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품종, 성별 및 성장 시기별로 적합한 사료급여가 불가능하고, 사양관리에 대한 자료와 질병예방 programme이 부족하여 사슴의 경제수명과 생산성이 저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국제 경쟁력이 낮아져 양록산업의 근간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 그러므로 국내 양록산업의 주요 생산물인 녹용의 품질과 생산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문 사슴사료 제조, 사육기술의 개발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양록산업의 기반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 따라서 본 고에서는 주요 사슴의 영양소 요구량과 권장 사료급여량 및 우리나라 사육환경에서 녹용의 생산성 증대를 위한 영양소 급여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1. 영양소 요구량 ¶ ¶ (1) 에너지요구량 ¶ 뉴질랜드에서는 계절 등의 요인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사슴의 유지를 위한 대사 에너지(Metabolizable energy) 요구량은 어린사슴(3-11개월령)의 경우 대사 체중당 약 0.45 MJ이며, 성축의 경우 대사 체중당 약 0.57 MJ로 알려져 있다(Adam, 1988). 또한 Adam(1994)은 영국 등에서 증체를 위한 에너지 요구량을 5-6개월령의 사슴의 경우 1 kg의 증체에 11월-12월에는 55MJ이며, 1월-2월에는(7-8개월령) 87MJ이고, 3월-4월(9-10개월령)에는 48MJ이라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사슴의 체중당 에너지요구량은 소형종 사슴이 대형종에 비하여 높고, 또한 어린 사슴일수록 더 높으며 계절적으로는 여름철이 겨울철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레드디어의 경우 임신 및 비유 기간에는 일당 에너지 요구량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임신을 유지하기 위하여 임신 마지막 3개월간은 1.7-5.0MJ 정도가 증가되어야 하며, 특히 비유기에는 에너지 요구량이 비약적으로 증가되어야 한다. 즉 약 40일간의 최고 비유 기간에는 많은 영양소가 녹유로 배출되기 때문에 체중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유 사슴에 비하여 약 2배 정도인 17.2MJ 의 대사 에너지가 유지를 위하여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는 전체 비유량 및 자록의 증체와도 깊은 관계가 있어 매우 중요시 된다. ¶ ¶ (2) 단백질 요구량 ¶ 사슴의 유지를 위한 단백질 요구량은 사슴의 품종, 연령 및 계절별에 따라 다른데, 흰꼬리사슴의 경우 Murphy와 Coates(1966)는 13%, Thompson 등(1973)은 16.8%라고 보고하였으며, 엘크의 경우 Thorne(1969)은 14.5%라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Adam (1985)은 레드디어의 경우 어린 레드디어는 겨울 및 가을에 각각 10%와 16∼17%, 암 레드디어 성록은 가을 및 겨울철에 9∼10%, 숫 레드디어 성록은 봄 및 여름철에 12%의 단백질이 요구된다고 보고하였다. ¶ Thompson등(1973)은 사슴의 최적 성장을 위한 단백질 요구량을 16.8% 라고 보고 하였으며, Ullery등(1967)은 최대성장을 위한 단백질 요구량이 숫사슴은 20%이고, 암사슴은 13%로서 사슴의 성별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Adam(1985)은 레드디어의 단백질 요구량을 11-17%라고 보고 하였는데, 이는 레드디어가 흰꼬리사슴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단백질을 요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단백질 요구량은 품종에 관계 없이 Dean(1980)은 사슴의 최적성장을 위한 조단백질 요구량은 15%이상이라고 발표하였으며, Wohlbier(1974)와 Kay와 Staines(1981)는 18-19%라고 보고하였다. ¶ 사슴은 체조성분 중 단백질 비율이 다른 반추동물에 비하여 높을뿐 아니라 유 조성에 있어서도 면양과 비교할 때 전 비유기간의 단백질 함량이 약 40% 정도 높으며, 특히 번식 및 비유시기에 많은 양의 단백질을 요구하고 있다. Murphy와 Coates(1966)는 흰꼬리 암사슴에게 단백질 함량이 각각 7.4%, 11.4% 및 13.0%인 사료를 급여한 후 출생한 새끼사슴의 성장상태를 비교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이 7.4%인 사료를 급여한 암사슴이 낳은 새끼사슴은 1/2이 폐사하였고, 11.4% 를 급여한 실험구의 새끼사슴중 1/3 이 폐사하였으나, 13.0% 를 급여한 실험구의 새끼는 모두 정상적으로 성장하였다고 보고하였다. Dean(1980)은 번식을 위한 흰꼬리사슴의 조단백질 요구량은 12-15% 라고 보고하였고, Adam (1985)은 레드디어의 번식을 위한 단백질 요구량은 14%라고 발표하였다. ¶ 일반적으로 녹용 성장기간은 낙각이후가 아니라 1월이 되어 발정기가 완전히 끝나고 녹용 성장을 준비하는 기간부터 절각하기 까지로 녹용 성장기간에는 단백질 함량이 17∼22% 수준인 사료를 공급해 주어야 하며, 단백질이 수준이 낮은 사료가 공급되면 녹용의 성장이 둔화되거나 정지된다. 양(1993)은 녹용의 생산량을 높히기 위하여는 단백질 수준이 21-23% 되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Fennessy와 Milligan (1987)에 의하면 녹용 성장 준비기간 23% 수준의 단백질을 공급했을때 14% 수준의 단백질을 공급한 사료보다 녹용 생산량이 약 25% 정도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 ¶ (3) 광물질 요구량 ¶ Ullrey 등(1973)은 이유후 12개월까지 최대성장과 골격형성 및 뿔성장을 위한 칼슘(Ca) 요구량은 0.45%라고 발표하였고, Dean(1980)은 성장중인 사슴의 칼슘(Ca)요구량은 0.45∼0.5%라고 보고하였다. Verme와 Ullrey(1972)는 흰꼬리사슴의 경우 이유에서 생후 12개월 까지 최대 성장과 골격형성 및 뿔성장을 위한 인(P)의 요구량은 0.35%라고 보고 하였다. ¶ Griffiths(1986)는 Na, Mg 및 S의 사슴사료내 적정 공급수준은 각각 0.05-0.1%, 0.1-0.2% 및 0.1-0.3%라고 보고하였다. 유황은 아미노산과 Biotin의 구성성분으로서 생리적으로 대단히 중요하고 주로 반추위내 단백질 대사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사료내 요구량은 0.3%이다(Verme 와 Ullrey, 1972). ¶ 철(Fe)의 일당요구량은 체중 100kg당 78∼94mg이며 사료내 함량은 50mg/kg이라고 Wallach(1972)가 보고하였으며, Griffiths(1986)는 Fe의 사슴 사료내 적정 공급수준을 40mg/kg 이라고 보고하였다. Wallch(1972)는 사슴의 일당 최소 구리(Cu) 요구량은 17mg이며, 사료내 함량은 5∼10mg/kg이 적합하다고 보고하였고, Griffiths(1986)는 Cu의 사료내 적정 공급수준은 10mg/kg 이라고 보고하였다. 사슴의 사료내 아연 요구량은 30mg/kg (Griffiths, 1986), 55mg/kg (Verme와 Ullrey, 1972) 또는 60mg/kg (Wohlbier, 1974)이며, Ullrey(1980)는 요오드(I)의 요구량을 체중 kg당 0.25mg, Wohlbier (1974)는 1∼2mg 이라고 하였으며, Griffiths(1986)는 사슴에 있어 아연(Zn)의 사료내 적정 공급수준은 0.1-1.0mg/kg 이라고 보고하였다. Wallach(1972)는 사슴의 코발트(Co) 요구량은 체중 kg당 1.94∼2.2mg 또는 사료내 0.1mg/kg이라고 보고하였으나, Wohlbier (1974)는 이보다 10배가 많은 1mg/kg을 권장하였고, Griffiths(1986)는 사료내 적정 공급수준을 0.1mg/kg 이라고 보고하였다. Wohlbier(1974)는 사료내 망간(Mn)의 요구량을 40∼55mg/kg 이라고 보고하였으며, Griffiths(1986)는 사슴사료( ¶ 망간의 적정 공급수준을 20-25mg/kg 이라고 보고하였다. Griffiths(1986)는 사슴에 있어 세레늄(Se)의 사료내 적정 공급수준은 0.1mg/kg 이라고 보고 하였다. ¶ ¶ (4) 비타민 요구량 ¶ 비타민 A의 권장량은 농후사료 kg당 22,000∼44,000IU 이며(Wallach, 1972), 비타민 D의 권장량은 체중 kg당 5.5∼6.6IU 라고 Robbins(1983)이 보고하였고, 비타민 E의 권장량은 사료 kg당 55∼175IU이다(Wallach, 1972). ¶ ¶ (5) 물 요구량 ¶ 건물 섭취량에 따라 물 섭취량이 좌우되는데 Knox 등(1969)는 노새사슴(Mule deer)의 경우 대사체중당 65g의 건물을 섭취하면 대사체중당 140g의 물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으며, Elder(1954)는 노새사슴의 경우 7∼8월에는 매일 3.8∼10.4 l의 물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 ¶2. 사슴의 사료급여 및 사양기준 ¶ 사슴의 영양소요구량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고 있으나 학자에 따라 차이가 있고 또한 사슴의 종류나 개체에 따라 변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사슴은 반추동물로써 채식형태가 concentrate selector group에 가까운 intermediate group에 속하므로 타액선은 다른 초식동물에 비하여 큰 반면 반추위내 융모의 발달이 미약하고 소장이 짧으며 3위가 작아 물의 흡수능력이 약하고 담낭이 없어 담즙액을 십이지장으로 직접 흘려보내는 소화생리적 특성을 갖고 있다. ¶ 따라서 사슴에 급여하는 사료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지방과 섬유소 및 수분의 함량이 낮은 단미사료를 이용하여 각종 영양소 요구량과 섭취량을 고려하여 배합하여야 한다. ¶ 이상의 결과를 요약한 품종별, 사료 급여기준 및 사양기준은 다음과 같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