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는 국내산 축산물 대표브랜드 육성기반 조성과 브랜드 축산물의 매출액을 지난해 18억5천6백만원에서 올해 22억2천7백만원까지, 20% 증대하기 위해 2004년 브랜드 육성방안을 마련했다. 농협중앙회는 이에 따라 중앙회에 브랜드추진협의회를 설치해 지역클러스터(조합·지자체·대학·연구소등)와 브랜드조합협의회(광역브랜드·개별조합브랜드)등 브랜드 경영체에 선택과 집중을 통해 발전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농협중앙회는 브랜드에 대한 통일되고 일관된 개념 정립과 선도 브랜드 육성으로 축산물유통차별화 주도, 그리고 브랜드 파워 강화를 위한 홍보 활성화, 객관적인 평가체계 구축등을 핵심추진사항으로 설정했다. 올해 농협중앙회가 회원조합을 대상으로 진행할 브랜드 육성방안을 2회에 거쳐 소개한다. ■브랜드 추진체계 정립=브랜드 추진체계는 품질의 균일성, 위생 및 안전성, 물량공급의 안정성등 브랜드 축산물의 3요건을 기본개념으로 구축된다. 우선 조합은 농가조직화·품질균일화·상품화를 담당하고 중앙회는 도축·가공·마케팅·컨설팅을 담당하는 등 상생의 역할분담을 추진한다. 또 지역특성에 맞는 브랜드개발을 위해 산·학·관·연의 지역클러스터를 구성·운영하면서 브랜드사업에 관한 경영·기술·마케팅등 지도기능을 수행토록 지원한다. 중앙회는 관련부서 팀장 10명내외로 ‘브랜드사업협의회’를 구성, 브랜드 사업계획 심사와 브랜드 육성방안협의등 수행토록 할 방침이다. / 그림참조 ■우수하고 발전가능성 있는 브랜드를 집중 지원해 선도 브랜드로 육성=전국 브랜드 한우 5개, 돼지 3개등 8개와 지역브랜드 한우 10개, 돼지2개등 12개를 포함한 20개 선도브랜드를 육성한다는 목표이다. 중앙회는 4월중 육성브랜드를 선정할 방침이다. 2004년도 산지축산물생산·유통지원사업의 ‘브랜드사업’으로 지원받은 조합이나, 2003년 축협조합경제활성화사업 평가에서 브랜드사업으로 평가를 받은 조합들이 선정대상이 된다. 이때 선정기준 요건으로 관내사육기반과 생축장보유 여부, 지자체와 연계성, 브랜드인지도, 조합장과 직원의 열정과 의지, 중장기 목표와 로드맵 구비여부, 지역특화정도, 사업계획의 충실도등이 고려된다. 육성유형은 한우의 경우 개별조합 또는 조합간 연합사업방식에 의해 다양한 유형으로 조합자율에 따라 육성된다. 개별조합형은 조합소유형, 조합소유+농가계약사육병행, 농가소유형등으로 육성되며 연합사업형은 신규브랜드연합형, 기존브랜드중심연합형등으로 육성한다. 돼지의 경우는 개별조합 또는 시장인지도가 있는 브랜드 중심의 가족브랜드로 육성하되 발전단계에 따라 지원사항을 차별화할 방침이다. 브랜드사업 초기단계로 생산기반 구축단계에 있는 기초단계조합에는 생산기반 공고화를 목표로 농가조직화와 농가교육, 브랜드개발, 사전컨설팅등으로 지원한다. 생산기반 3요소를 어느정도 구축하고 시장진입 초기단계에 있는 발전단계조합은 브랜드인지도 제고를 목표로 시장진입을 위한 판촉, 사업확대, 지역단위 상품설명회와 전시회등을 지원한다. 초기 시장진입에 성공해 시장확대단계이거나 지역적 브랜드파위를 지니고 전국적 브랜드로 확장하고자 한는 정착단계조합은 국내산 축산물을 대표하는 파워브랜드로 육성한다는 목표아래 홍보·광고를 포함한 마케팅, 유통업체 연계, 계통매장 입점, 전국단위 상품설명회와 전시회등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중앙회는 육성대상 브랜드에 대해선 독자적 유통채널 구축을 지원하고 육성대상이외 브랜드는 중앙회 패커 브랜드화등 중앙회 집중방식의 유통채널 구축으로 유통차별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축산물 Power Brand Twenty 운동=파워브랜드 20개 육성과 브랜드 매출액 20% 증대를 위한 운동으로 9개 지역본부별로 2개내외의 육성대상브랜드를 선정, 예산·컨설팅·교육등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평가기준은 판로개척과 브랜드 인지도, 마케팅활동, 교육등으로 평가기간은 오는 5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8개월간이다. 평가시기는 내년 1월중. 중앙회는 해당조합에게 포상 및 유통활성화자금 우선 배정, 표창, 해외연수 실시등의 시상을 계획하고 있다. 신정훈 jhshin@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