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무리한 노계환우에 대한 규제방안 마련 의사를 밝힌 가운데 환우에 대한 정부차원의 명확한 경제성 평가 및 연구를 토대로 올바른 사양프로그램 접목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양계협회 채란분과위원회(위원장 심준식)는 지난 6일 월례회의를 갖고 최근 채란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환우를 무조건 막을 것이 아니라 전문가들로 하여금 올바른 환우 프로그램을 개발, 농가들에 보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질병과 사료 값 인상등으로 인한 농가들의 경영난은 악화된 반면 병아리값은 천정부지로 올라 대부분의 농가에서 환우를 하고 있다며 일부지역의 경우 80%이상이 강제환우를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2, 3차 무리한 강제환우에 의한 심각한 부작용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며 이에대한 근절을 위해서는 강력히 대처키로 했다. 최명구 양계협 수원지부장은 “예전에는 환우를 안 시키고 80주까지 산란계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70주만 넘어도 상인들이 계란을 가져가지 않는다”며 “요즘은 60주대에 환우들어가야 경제성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닭의 생리상 1차 환우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참석자들은 이에 공감하며 일본이나 유럽같은 축산선진국에서도 환우는 일반적인 사육형태이며 이스라엘의 경우 진흥청에서 환우를 프로그램화 시켜 농가에 보급하고 있는 만큼 정부차원에서 환우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같이했다. 이날 회의를 참관한 농림부 조병임 사무관은 “환우로 인해 질병과 계란품질 그리고 수급조절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고 밝히고 철저한 연구를 통해 올바른 환우는 인정하되 2, 3차까지 가는 무리한 강제환우에 대해서는 강력한 법적 제제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피력했다. 이에따라 농림부는 산란종계 데이터 베이스를 조속히 구축해서 산란노계 처리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것이라고 밝히며 가축전염병예방법 개정을 통해 무리한 강제환우에 대해서는 강력히 제제를 가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유병길 gil4you@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