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완전배합발효(TMF)사료를 주목하자(下)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4.05.20 17:58:04

기사프린트

■TMF의 필요성
조사료와 농후사료(배합사료)를 특정 젖소에 대하여 영양적으로 적절한 비율로 배합한 사료를 통칭하여 완전배합사료라고하며, 완전배합사료만으로서 그 특정 젖소가 더 이상의 영양소 보충이 없어도 생산, 유지 등의 생명활동을 충분히 해낼 수 있을 때 이를 완전사료라고 한다.
이들은 궁극적으로 사료의 단일화와 완전사료화라는 도달 목표를 갖고 있는데, 완전사료는 젖소의 소화생리를 돕고, 섭취량을 증가시키는 등 사료적 가치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급여에 필요한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TMF는 특히 사료자원의 수급이 불안정한 우리나라 여건상 각종 부존자원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자원자립도 극대화와 장기저장기법을 이용한 사료의 안정적 공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최대의 수단으로서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TMF의 제조원리
TMF의 제조원리는 근본적으로 사일리지 제조원리와 동일하다. 먼저 청초, 고수분 농산부산물, 물 등의 고 수분 재료가 필요하다. 그리고 볏짚 등의 고간류 사료자원을 위주로 한 저 수분재료를 혼합하여 전체 수분함량을 65~70%로 조정하는 수분조절기법에서 출발한다.
그 다음으로 검토할 사항은 미생물의 혐기적 발효를 조성할 탄수화물재료와 미생물의 투입여부 결정이며, 다음으로는 조사료의 성상에 따른 영양적으로 완전사료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농후사료(곡류 및 부산물)의 보충수준을 결정하는 영양함량조절 단계이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혼합물질의 사일로 내에서의 혐기조건 유지를 위한 진압과 밀봉조치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한 작업단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MF 제조계획 수립(사일로 준비, 제조량, 재료별 소요량 추정, 수분조절 주원료와 발효균주의 사용여부 결정) 2) 재료 준비(장비, 계량저울, 사료원료, 발효균주, 밀봉용 재료 등) 3) 재료 성분 분석(수분, 단백질, 에너지) 및 수분조절원료에 의한 계산상 목표수분함량 결정 4) 보충사료 배합비 결정 및 계량 5) 제조 및 보관 ① 트랜치(방카) 사일로의 준비와 장비(TMR 배합기, 수송, 진압차량 등)의 준비 ② 볏짚의 처치(절단 및 세척) ③ 원료의 중량 측정 투입(발효균주 및 첨가제 투입) ④ 배합과 진압 ⑤ 밀봉 및 답압 유지(사일로 덮게, 비닐, 폐타이어 등)

■ TMF 배합 원리와 원료의 선택
TMF의 원료배합의 원리와 순서는 우선 고 수분원료를 두고 목표수분 65~70%로 조절하기 위한 볏짚이나 고간류 부산물의 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다음으로 영양조절을 위한 곡물(옥수수, 대두, 밀기울 등)의 배합량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때 영양조절 목표는 체중 700Kg, 일일 산유량 18Kg의 착유후기 젖소를 대상으로 한 완전사료(더 이상의 영양공급이 필요 없는 사료)로서 에너지(TDN)와 단백질(TCP)수준을 조절하여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제조된 TMF의 급여대상 개체나 축군(group)의 일일 최소 원물(배합이 종료된 수분 65% 내외 인 TMF)섭취량을 산정(목표)하는 일이다. TMF는 일단 젖소의 기호성이 다른 사료들보다 높다는 것을 담보하는 것이기에 일반적으로 건물(dry matter)섭취량으로 급여대상 가축(또는 그룹) 체중의 3~4%수준을 전제로 총 영양소요구량을 충족시키는 영양소조절방법이 좋다.
물론 제조가 완료되고 난 뒤에 전체 TMF의 축군이나 개체에 대한 급여량의 결정은 급여 전 영양소함량분석과 실제 일일최소섭취량조사 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정해야 할 것이다.
영양조절용 단미사료(곡물 등)는 가급적 단순하게 특성 있고 수급이 용이한 대표적 원료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에너지사료로서는 옥수수, 단백질 사료로서는 대두(콩), 그리고 대사완화물질로써의 밀기울, 이렇게 세 가지 원료를 권장한다.
특히 밀기울은 수분조절 단계에서의 고 수분원료의 수분이 흡수력이 낮은 볏짚으로 가지 않고 저장초기에 배출 손실되는 수분을 잡아주는 수분흡착원료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할 것이다.
< 실제 배합설계 방법 >1) 1단계 : 수분조절단계(목표수분 70%) 고수분 원료(수분 80%이상) 저 수분원료 1차목표(수분 15%이하)청초(사료작물)볏짚,콩깍지, 왕겨 등 수분 : 70% 고수분 농산가공부산물(맥주박, 당근박, 두유박, 비지 등) 물 농수부산물 2) 2단계 : 영양조절단계(목표수분 65%)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