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MWS란? 1. 원인 및 임상증상 ■ 원인체 - 돼지써코바이러스(PCV)2형 : PH 3, 56~70 에서도 생존, 소독제에 저항성이 강함 : 감염된 웅돈의 정액을 통하여 배설이 가능하므로 인공수정을 통한 수직감염도 가능 : 농장에 일단 감염되면 근절이 어렵고 지속적으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음 : 면역억제 기능 - 단독감염보다는 2차적인 세균의 복합감염에 의해 피해가 커짐 ■ 임상증상 : 위축 및 쇠약, 체중감소, 기력부족, 호흡곤란, 황달, 위궤양, 서경부 임파절종대 등 : 이병률및 폐사율은 밀사, 환기불량, 일교차,사육환경등에 따라 다양 : 발생시기는 생후 6주~9주사이에 주로 발생 ■ 농장에서 나타나는 질병양상 : 복합감염이 대부분(써코바이러스+PRRS+글래서씨+파스튜렐라균 둥) : 자돈, 육성돈에서 살모넬라성 설사 동반 위축 : 농장간의 임상증상, 육안병변이 다양함 : 피부염을 동반하는 급성형 위축 : 번식장애 유발 : 유산된 태아에서도 PCV2형 분리 : 환경관리(분뇨처리) 및 사양관리 실패(밀사) 등에 의한 스트레스 : 이유일령 21일 이내 및 이유체중 6kg미만시 질병발생 높음 2. 국내발생현황 ■ 대한양돈협회설문조사(4/26~5/3) - 161호 농가 중 57%(92호농가)가 발생경험 ■ PCV-2와 다른 병원체의 복합감염율(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01) 3. PMWS 피해가 지속되는 원인 ① 외부에서 자돈구입 써코바이러스 감염경로가 된다. ② PMWS발병 종돈장 등에서 후보돈을 도입하는 경우 ③ 모돈에서 써코바이러스, PRRS 음성돈군과 양성돈군이 혼재되어 질병 순환하는 경우 ④ 2차 호흡기질병에 대한 모돈, 자돈에 백신 접종이 안되어 폐사를 가중시킴 ⑤ 환돈에 대한 조기발견, 조기도태, 격리사육이 안되는 경우 ⑥ 수세/소독 등 기본 위생관리 미흡 ⑦ 돈사 단열 불량(일교차), 환기불량 ⑧ 쥐, 고양이, 개, 조류 등 방치 ⑨ 농장주 및 농장 관리자 교육을 통한 정보,지식습득 및 실천이 안된 경우 ▒ PMWS예방 및 관리대책 1. 건강한 이유자돈 생산을 위한 분만사 관리! ① 철저한 초유급여 - 분만 2일내에 각 1시간씩 2회를 체중 작은 50%의 분만자돈만을 자유롭게 포유시킴(분할포유) - 분만직전에서 부터 분만 12시간까지 분만틀 뒷편 문부위에 일시적으로 보온등을 가동(또는 보온상자설치) - 조산기구 소독 철저: 2차 감염예방 산차와 비유유량과의 관계 ② 포유모돈 사료급여량을 최대한으로 유지하는 기술, 첨가제를 이용하여 모유질과 양을 개선 ③ 양자는 건강하게 분만된 자돈에 한하여 24시간 이내에 충분한 초유 섭취 후 실시 ④ 포유자돈 및 이유자돈 철분, 백신접종시 환돈은 마지막에 실시 - 전염차단 ⑤ 임신말기 모돈에 비타민, 셀레늄, 면역강화제, 철분 투여 2. 이유후 1주간의 관리가 중요하다.(이유자돈 관리) ① 6kg이상의 자돈을 이유 ② 6kg이하 자돈은 이유일령을 늦추거나, 컨테이너 자돈사(또는 별도의 자돈사)를 활용하여 사육 ③ 이유후 10일간은 액상급이, 제한급이를 실시 - 과식으로 인한 초기의 문제(설사) 해결 - 액상급여시 반드시 제한급이를 실시 - 1일 6회이상 급여 ④ 급이기수 및 급수기수(니플)는 돈방내 수용두수가 일시에 섭취 가능토록 - 이유후 1주간 액상급여시 1두당 1구의 급이기사용(보조로 원형급이기 이용) - 이유자돈 3~5두당 1개의 니플 확보 - 이유후 바로 니플에 대한 적응력 유도 - 1일 5회, 1주간 니플을 수시로 눌러줌. - 이유후 3일간은 신선한 물을 자주 먹을 수 있도록 물(전해질 포함)급여 (1일 1리터 이상의 물을 1두의 자돈이 섭취해야 한다) 3. 기본관리에 충실한 자돈관리(생후 4주령 ~ 10주령) ① 자돈사 돈방간 돼지 직접접촉 차단을 위한 격리벽 설치 - 최소한 지면에서 80cm 높이로 설치 ② 보조급수기를 설치하여 자돈들이 충분히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③ 백신 또는 항생제 치료시 반드시 돈방단위로 주사침을 새것으로 교환함. - 질병전파차단 목적, 환돈은 맨 마지막에 치료. ④ 액상사료급여시 건식사료는 별도의 사료급이기에 급여하여 적응토록 한다. ⑤ 무제한 급이시에도 1일 1회 급이기를 비우고 청소 ▒ PMWS위생관리대책 1. 써코바이러스와 복합감염질병 백신접종 철저(접종프로그램: 도드람양돈연구소와 상의!) ① 모돈단계 - PRRS, 마이코플라즈마 등 호흡기 질병, 파보바이러스등 - 태아감염 예방 ② 자돈단계 - PRRS, 마이코플라즈마, 글래서씨, 파스튜렐라, 흉막폐염 등 ③ 반드시 문제질병은 모돈에도 접종하도록 한다 2. PMWS관련 약품사용(도드람양돈연구소와 상의!) ① 번식돈군 안정 및 청정화(임신말기돈) - 내외부 기생충 구제(면역강화, 백신 효과 상승) - 영양제 추가 급여 - 사료에 첨가제 급여(소화효소제, 면역강화제 등) ② 이유 70일령 자돈 첨가제 프로그램 실시 - 면역 증강제 및 영양제 등 투여 ③ 자돈에 봉침시술을 통한 면역력 자극 - 각종 질병예방 3. 농장 차단방역 및 돈군 위생관리 강화 ① 후보돈/ 웅돈/ 정액 도입시 신중한 선택 및 관리 ② 써코바이러스는 소독제에 저항성이 있으므로 소독제 작용시간 및 방법 준수 - 페놀(10~30분), 4급암모늄제제, 수산화나타륨제제(10분), 산성제(30분)등 - 돈방 및 돈사 청소후 소독을 실시하되, 소독약과 병원체는 10~30분이상 접촉하여야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므로 충분한 양을 분무한다. - 1일 2회 실시 ③ 돼지 입식전 돈사 수세, 소독, 건조기간을 1주일 이상 유지한다. - 생석회 도포 과정을 필수적으로 실시 - 바닥 손상, 파인틈새 등을 확실하게 수리 후 입식 시킴. ④ 돈사내 all-in/all-out실시 - 환돈의 잔류가 질병전염 고리의 근본이 됨. ⑤ 환돈의 조기격리(컨테이너 돈사 준비) 및 발병돈의 조기도태가 가장 좋은 대책 ⑥ 구서대책을 수립하여 월1회 구서작업을 실시한다. ⑦ 돈사별 전용 신발 비치(특히 분만사, 자돈사) - 장화에 의한 병원체(써코바이러스,PED등)의 직접 접촉전염을 차단할 수 있다. ▒ 기본적인 사양 및 위생관리 관련사항 1. 환기: 공간용적의 계산으로 환경개선, 충분한 환기 실시 - 여름철 방목장 이용으로 해결 2. 밀사방지 환경대책(공간 용적) 3. 일교차 - 5 이하 유지 환경 관리 기준 4 임신돈 B.C.S관리 생시체중을 높이자 5 농장의 모돈 경제산차(3~6산차) 비율이 50%이상 확보가 중요하다. - 포유능력, 생시체중, 이유체중, 모체이행항체등의 면역력 획득 관여! 6. 생산성적 및 시설을 감안하여 문제지속시 자돈사를 3주이상 비운다 - 각종 질병의 병원체를 살멸하여 자돈의 성장에 효과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