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인공수정업계가 비육돈 농가들에 대한 정액증명서 발급의무를 없애되 AI센터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하는 방안을 행정당국과 관련기관에 요구하고 나섰다. 돼지AI센터협의회(회장 정관석)는 지난 20일 충남 유성 소재 홍인호텔에서 2/4분기 정기총회를 개최, 업계 내부에서 그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정액증명서 발급에 대해 이같이 입장을 정리했다. 이날 회의에서 AI센터 관계자들은 산육능력확인서를 대체하고 있는 정액증명서가 정액처리업의 허가기준과 동일, 의미가 없을 뿐 아니라 농가들도 원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일부 참석자들은 “결국 증명서 발급기관의 재정만을 매꾸기 위한 도구밖에 되지 않는다”는 시각도 감추지 않았으며 현행 산육능력확인서 발급규정이 돼지AI업계가 활성화 되기 전 소부문에 적용되던 것을 그대로 접목, 비현실적이라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들은 특히 우수정액 공급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지금과 같이 ‘정액관리’가 아닌 AI센터에 대한 관리 감독이 이뤄져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AI센터를 관리 감독해야 할 시·군의 경우 전문성 결여로 인해 그 역할을 기대하기 힘들 뿐 아니라 심지어 행정당국이나 관련단체 그어느 곳도 AI센터들이 보유한 수퇘지 현황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비난했다. 따라서 AI협의회는 정액증명서 발급 의무를 없애되 AI센터를 관리 감독할수 있는 관련규정을 대폭 강화해야 할 것으로 분석, 이를 관계당국에 요구키로 하고 종축개량협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이에대해 종개협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날 회의에 참석한 종개협의 김정일 팀장은 “증명서 발급건은 관계자들간 협의를 통해 바람직한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고 “다만 종축관리 차원에서 비육돈 농가에게 우수한 정액을 공급할수 있는 관리체계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일호 L21ho@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