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축산물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양축농가들과 정책은 「동물복지」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희식 축산과장은 축산물 경쟁력 확보의 화두는 「동물복지」이다. 서방의 연예인들이 주장하는 애호가로서의 동물복지 개념이 아닌, 가축사육 환경기반의 복지수준으로 끌어올려야 안전하고 품질좋은 축산물 생산과 증체를 이룰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 과장은 『동물복지하면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냉정히 따지고 보면 양축농가 이익에 가장 부합되는 사육목표가 가축복지이다』며 『생명체인 가축이 편안함을 느끼고 잘먹고 잘클수 있는 사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복지의 핵심이다』고 소개했다. 정 과장은 실제로 친환경축산을 위한 분뇨처리시설 강화라든가, 청결농장에서 생산된 축산물이 시장에서 높은 시세를 기록하는일, 또 음악요법으로 살이 찌는 가축등 지금 우리 축산현장에서도 부분적인 복지향상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적인 복지, 즉 사육환경 개선은 양축농가의 이익과 직결될 수 있다는 얘기다. 정 과장은 『개방시대를 맞은 우리 축산은 양축농가 스스로의 의지가 가장 필요한 시점을 맞고 있다』며 『친환경축산을 구현해 나갈 때 소비자가 믿을 수 있는 축산물 생산을 쉽게 이룰수 있어 한마디로 돈이 되는 축산을 영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달라』고 주문했다. 경남도가 올해 축산목표로 내세운 기술축산·경영축산·수출축산의 저변에는 양축농가들의 도움이 절실한 사업들이 많다는 설명이다. 복지를 경제성으로 연결시킬수 있다는 소신을 가진 정 과장의 올 한해 활동이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