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사슴사료 제조 및 사육기술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성균관대학교 신형태 교수(생명공학부)는 사슴사육농가 1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협중앙회 주최로 지난 18일 열린 신지식 농업기술 사슴교육과정에서 사슴의 영양소 요구량 및 사료급여기준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경기도 안성소재 축산교육원(원장 채수운)에서 가진 아날 교육에서 신교수는 우리나라는 세계 4위의 사슴사육규모와 세계 최대 녹용수입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사슴연구가 표본조사에 의한 기초수준에 불과하고 그나마 녹용의 성장 및 성분형성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사슴품종별 영양소요구량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품종 및 성별 성장시기에 적합한 사료급여가 불가능하고 사양 및 질병관리 프로그램의 부재로 사슴의 경제수명과 생산성이 저하, 결국 국제경쟁력 저하에 따른 양록산업의 근간이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국내양록산업의 주요 생산물인 녹용의 품질과 생산량 향상을 위한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양록산업의 기반조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주제발표자로 나선 한국양록협회 방상극사무총장은 사슴사육규모의 전업화와 고능력 사슴사육 및 조사료 자급등을 역설했으며 한국사슴연합회 장진하 회장은 사슴사육형태에 따른 신중한 사업방식의 선택과 경영형태를 감안한 적합한 품종 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농협측은 앞으로도 매년 사슴교육을 개최, 현장견학 및 상호학습을 통해 농가단위의 실질적이고 전문적 기술도입을 도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이일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