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청정국가 복귀 양축가 손에 달려있다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0.08.19 12:10:46

기사프린트

일부농가 구제역 항체검사.접종 비협조적
소독 개념도 희박해 올바른 소독도 안돼
검역원,전국 5개권역별 순회교육 강화방침

지난 3월25일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에서 최초로 발생해 모두 6개지역 15개 농가로까지 확산됐던 구제역은 일단 진정국면으로 접어들었고 검역원은 완전 청정화를 위해 프로방테스트등 항체검사를 강화하고있다.

또 구제역 2차 예방접종도 현재 일부사슴 농가들을 제외하고는 순조롭게 진행돼95% 수준에이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산농가 일각에서는 올 가을에 또다시 구제역이 발생할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이 제기되고 있다.

이로인해 농림부도 일제 소독기간을 설정하는등 소독의 중요성을 고취시키고 있으며 전국 5개권역별로 순회교육도 강화하고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도 예방접종을 강화하고 있으며 발생지역은 물론 전국적인 항체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가검물을 수거해야하는 병리진단과 수거된 가검물 검역원내 차폐연구실에서 정밀분석해야 하는 해외전염병과의 직원들은 평일 12시 퇴근은 물론 휴일에도 출근하고 있을 정도로 구제역 완전청정국가로의 복귀를 위해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이들의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일부 농가들이 구제역 항체검사와 예방접종에 비협조적이어서 국제수역사무국으로부터 완전 청정화를 인정받는데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점이다.

또 많은 농가들이 소독에 대한 개념이 희박해 제대로 소독을 실시하지 않고있는것도 재발의 주요 원인이 될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경기도 평택지역의 젖소농가는 젖소의 인후두부에서 가검물을 채취하기 위해 소를 마취시킬경우 산유량 감소가 우려된다며 반대를 하고있다.

또 일부 사슴농가들은 예방접종후 사슴에 낙인을 찍어야하고 이 경우 사슴가격이 하락한다는 이유로 접종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일부 농가들은 소독약을 나눠졌지만 이를 제대로 소독하지 않은채 축사에 쌓아두고 있는것도 구제역 청정국가로의 복귀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다.

수의 축산전문가들은 그러나 이들 농가들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면서도 일단 항체검사와 예방접종에 협조를 해야한다고 못박고있다.

또 철저한 소독은 구제역뿐만아니라 각종 질병을 사전에 막을수 있어 결국 질병으로 인한 농가피해방지와 생산성향상등 소득향상으로까지 이어지는 만큼 적극적인 소독활동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들 전문가들의 이같은 주장은 구제역 청정국가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후 1년간 비발생이어야 하고 그과정에서 항체검사 결과등 각종 기록을 유지해야 하기때문에 농가의 협조없이는 불가능 하기 때문이다.

또 구제역의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철저한 소독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만약 농가들의 비협조로 프로방테스트 등 항체검사를 실시할수 없게되고 농가의 비협조로 예방접종을 마무리 하지 못하면 그만큼 청정국가로의 복귀가 늦어지고 전체 축산농가의 어려움만 더해 갈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들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결국 구제역 재발방지와 청정국가로의 조기 복귀는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농가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예방접종을 마무리하고 항체검사를 마무리 했을때에만 이를 토대로 국제수역 사무국에 청정국가 복귀신청을 할수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