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 유통의 전진기지인 LPC(축산물종합처리장)가 축산물 위생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고, 유통단계 축소에도 적지 않은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아직도 운영에 애로를 겪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농림부가 이의 개선 대책을 내놨다. 개선 대책에 따르면 무엇보다 우수 도축장이 시장에서 평가받을 수 있도록 도축장 HACCP 운영수준 평가제를 도입, LPC 등 우수 도축업체에 대해 각종 정책에서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특히 LPC가 양돈계열화사업 및 브랜드사업 참여시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브랜드사업·계열화사업 등 정책자금 지원시 LPC 활용업체에 대해서는 가점 부여로 LPC 처리물량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백화점, 대형할인점 등 LPC 안내책자를 발간 배포하고, 군납, 학교급식, 주부 등 소비자 초청 견학을 통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한편 HACCP 적용 작업장(도축·가공장) 축산물을 우선 사용토록 대형유통업체등 소비처에 대한 적극적인 소비 추진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도축장 HACCP 운용 및 사후관리 강화로 도축장 구조조정과 함께 LPC 경영평가 및 컨설팅 실시(6월∼9월까지)로 운영개선을 도모토록 할 계획이다. 농림부는 지난 11일 이같은 내용의 LPC 개선대책 회의를 갖고, LPC 가동율을 1단계(2006년)로 소 50%, 돼지 75%로 확대토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 LPC 대표들은 정책자금 상환을 연기해 줄 것과 정책자금 금리를 인하하고, 운영자금 지원과 더불어 농사용 전기요금으로 전환해 줄 것을 요구했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