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양돈협회(회장 최영열)가 이달 중순에 인상한 사료가격의 즉각 환원과 함께 사료판매가격 원가 공개를 통한 사료업계의 고통분담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양돈협회는 지난 22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최근 연이은 사료가격 인상에 따라 지난 1년간 사료가격이 37%나 상승, 양돈농가들이 존폐위기에 처해있다며 정부 및 사료업계의 대책을 요구했다.양돈협회는 최근 수개월간 돼지값이 생산비 이상에 형성, 사료가격 인상분을 간신히 버터내고 있는 상황이지만 비수기인 9월 이후 돼지가격이 다시 한번 급락할 것이라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어 양논농가들의 생존문제가 당장의 현안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얼마전 충남 홍성에서 돈가 하락시 불어난 사료비를 감당못해 돼지를 굶겨죽인 사건을 지목, 돈가가 가장 좋은 5-6월에도 사료비가 없어 돼지를 굶겨죽이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사료업계의 일방적인 가격인상은 양축농가 모두가 분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제 곡물가 및 해상운임 등의 상승에 따른 사료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조치라는 사료업계가 그 인상요인을 경영합리화 등을 통해 흡수할 수 없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양돈협회는 이에따라 정부가 1년동안의 사료가격 37% 상승이 축산업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검토, 사료원료 무관세 및 부가세 의제매입세 상향조정을 포함해 지금터라도 9월 이후의 대책 마련을 통해 뒷북행정을 지양함으로써 비전을 제시해야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사료업계에 대해서는 과당경쟁에 따른 영업비용 절감과 구조조정을 통한 물류비 감축 등 경영합리화 등을 통해 이달 중순에 인상한 사료가격을 즉시 환원활 것을 요구했다. 이와함께 국제곡물가격과 해상운임도 4월을 기점으로 6월 현재 10∼20%이상 하락하고 있는 요인이 적극 반영돼야 함을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사료판매가 원가도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택도 공공재로 처리, 분양원가를 공개하자는 여론이 높은 만큼 사료에 대한 제조비 등 판매가격 원가를 공개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양돈협회는 이러한 요구를 외면한채 사료업계가 경영합리화 등을 통한 자체구조조정 노력없이 가격 인상에만 의존할 경우 축산업계 모두가 공멸한다는 위기의식과 함께 '상생'의 원칙에 입각, 축산농가와 고통을 분담하는 모습을 즉시 보여줄 것을 거듭 촉구했다. 이일호 L21ho@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