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의 사육단계와 단절된 유통 단계의 검사와 단속으로는 축산식품의 안전을 보증할 수 없다.” “생산 단계에서부터 가공 유통 소비단계에 이르는 모든 위해 요소를 추적을 통하여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어야 실질적인 질병 청정화와 축산식품의 안전성이 보장된다” 축산 식품 관련 업무의 식약청 이관 움직임과 관련, 축산관련단체협의회와 대한수의사회는 각각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성명을 내고, 축산식품 위생관리 업무를 농림부에서 관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지난 23일 ‘축산물 가공업무 식약청 일원화 획책을 중단하라’라는 제하의 성명서를 통해 “소비자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의 핵심은 농장에서 식탁까지 일관 추적 관리되는 체계로서, 식품에 문제 발생시 ‘식탁에서 농장까지’ 역추적해 그 근원을 찾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조직과 체계를 갖췄는지에 중점을 둬야 한다”며 축산식품 관련 업무의 농림부 관장 타당성을 강조했다. 축단협은 또 “축산물은 생산 가공 유통 소비까지의 특성상 일반 식품과 동일하게 관리할 수 없으며 그렇게 관리해서도 안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며 축산식품 관련 업무의 식약청 이관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축단협은 따라서 “축산물은 사전 예방적 안전 관리를 위해 품목별로 생산부터 가공 유통 등의 일련의 과정을 통합해 관리해야 하며, 그 주된 역할은 농림부가 맡고, 보건복지부와 식약청은 최종 소비단계에서 이차 점검을 통해 축산식품 안전성 확보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고히 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동일dilee@chuksannews.co.kr ■ 대한수의사회 대한수의사회는 지난 24일 분당 수의과학회관 회의실에서 이사회를 열고 “최근 본건복지부와 식약청을 중심으로 현재 농림부가 관장하고 있는 축산물가공처리업무를 보건복지부(식약청)로 다시 이관하려는 움직임은 반개혁적인 발상”이라며 축산식품 관련 업무의 식약청 이관 움직임을 규탄했다. 수의사회는 이날 채택한 성명서를 통해 “축산식품은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되는 광우병을 비롯한 수많은 인수공통전염병의 관리 등 가축방역과 연계하여 위해요소 추적을 통하여 생산단계에서부터 관리해야만 실질적인 질병 청정화와 축산식품의 안전성이 보장된다”고 주장했다. 또 소비자 보호를 위한 식품의 안전성 확보는 농장에서 식탁까지 전문가에 의해 일관성있게 관리되어야 하며, 유엔의 FAO/WHO합동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식품위생일반원칙’에서도 원료의 생산에서부터 전 식품생산유통과정에 대한 일관된 위생관리를 규정하고 있다며 축산식품을 농림부가 관장해야하는 당위성을 강조했다. 곽동신 dskwak@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