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육우사료-삼양사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4.06.29 15:46:53

기사프린트

▒ 비프솔루션 1등급 출현율 93%

삼양사는 축산연구소(이하 축산연)와 공동으로 1등급 출현율 93%의 국내 최고의 고급육 생산사료와 급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삼양사는 본 급여프로그램 및 고급육 생산사료를 개발하기 위해 축산연 공동으로 2년의 장기간에 걸쳐 90두의 거세한우에 삼양사가 제조한 고급육 생산사료의 (이하 비프솔루션) 급여와 축산연의 엄격한 사양관리하에 사양시험을 실시 되었다.






본 사양시험 결과는 지난 6월4일에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와 한우연구회 주최로 개최된 “FTA에 대응한 한우의 차별화 전략 심포지움”에서도 소개가 되었는데, 심포지움에서 소개된 비프 솔루션 프로그램의 사양시험 결과를 다음과 같다.
표에서의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사양시험은 육질1등급 이상 93% 육량 B등급 이상이 89%로 전국 거세한우의 평균 수치를 휠씬 웃도는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그리고 본 사양시험 성적결과를 발표한 축산연의 오영균 박사에 의하면 본 사양시험 육질성적은 일본의 화우(和牛)를 능가하는 우수한 결과라고 소개를 하였다.
그럼 이러한 높은 등급 출현율을 보인 삼양사의 비프솔루션사료와 급여 프로그램의 특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육성기의 반추위 최대발달
고급육 생산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시기는 육성기 이다. 육성기 때 충분한 조사료를 섭취해야만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조기비만을 방지하고 반추위가 발달로 인해(반추위의 용적이 커짐) 향후 본격 비육이 시작 되었을 때 더 많은 사료를 섭취 할 수 가 있다.
본 사양시험에서는 생후 6개월령 송아지 90두에게 스트레스 회복 및 조사료 섭취량를 증대를 위하여 전 송아지에게 1개월간 반추위 조기발달 및 조사료 소화율 향상 효과가 탁월한 카프만나(미국 만나프로사 제조, 삼양사 판매)를 급여하였다.
그 결과 8개월령 송아지의 평균 건물 섭취량 4.5kg (이중 건초이 비율 55% 이상)의 유지와, 출하전 28개월에서 30개월에서의 평균 배합사료 섭취량 10.5kg로 유지 할 수 있었다.

■4단계 급여 관리
본 사양시험은 한우의 성장단계별 비육생리 및 효율적인 영양소 이용을 고려하여, 도입후의 급여단계를 4단계로 세분화 하였다. 급여단계로써는 육성기(6-11개월), 비육전기(12-16개월), 비육중기(17-21개월), 비육후기(22-28개월)로 설정을 하였고, 각 급여단계의 영양생리에 적합한 각 사료설계를 하여 각 영양소 과잉 혹은 부족분을 최소화하여 한우의 장기 비육과 고급육 생산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NDF/NSC 이론 도입
삼양사의 비육우 배합비 관리시스템에서 생산된 고급육 생산 사료가 육질1등급 93%를 달성함으로써 국내 최고의 배합비 관리시스템을 가지고 있음이 입증이 되었다. 그러나 삼양사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기존의 삼양사 비육우사료의 영양소 관리시스템에 추가하여 NDF와 NSC 관리 시스템을 보강하였다.
이러한 비육우의 NDF와 NSC관리는 기존의 TDN과 CP 중심의 관리보다 비육우의 육질 및 육량을 증대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여러 문헌을 통하여 입증이 되어 있고, 현재 일본에서도 비육우 기술이 발달된 몇몇 사료회사에서만 접목을 시키고 있는 신기술이다.
삼양사는 기술제휴회사인 일본의 협동사료로부터 NDF와 NSC 이론을 도입하여 축기연과의 사양시험 Data와 배합비를 토대로 한우에 적합한 NDF와 NSC 이론을 개발하여 비프솔루션의 고급육 생산을 위한 배합비의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비육우 급여량 계산 프로그램 Marble solution 도입
비육우는 반추가축이다. 즉 비육우는 배합사료만으로는 최고 품질의 고급육을 생산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배합사료와 조사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서 최고의 품질의 고급육 생산이 가능하다.
삼양사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각 비육단계별 배합사료 급여량뿐만 아니라 각 농장에서 별도로 급여하는 조사료의 적정 급여량까지 체크를 하여 최종적으로 소가 섭취하는 배합사료와 조사료 전체에서 NDF와 NSC관리가 가능하도록, 일본 협동사료와 공동으로 한우에 적합한 비육우급여량 전산 프로그램(Marble solution)을 개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삼양사의 全영업부서에 관리를 하고 있으며, 언제든지 비육우 사양가들의 요청이 있을 경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다.
끝으로 이번 사양시험의 1등급 출현율의 비결은 청결한 바닥관리 및 철저한 개체관리에 있다. 축산연이라는 국가연구기관과의 연구소에서 사양시험을 실시하다 보니 최적의 사육환경의 유지 및 급여량 체크가 가능했고, 그 결과 도입 후부터 출하 때까지 전두수(90두) 1두의 사고도 없이 출하 및 성적의 체크가 가능했다.
현재 비육우 시황은 소고기 소비 감소와 사료가격 인상등으로 인해 열악하지만 고급육 생산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예를 들면 농협서울공판장의 한우 평균가격이 ‘03년 12월에 12,488/kg에서 ‘04년 5월에 9,460원/kg으로 지육 1kg당 3,028원(24%)이 하락하였지만, 한우 1+등급의 경우에는 작년 12월에 16,944원/kg에서 올 5월에 16,027원/kg으로 지육 kg당 917원/kg으로 소폭의 감소(5%)에 그쳤다. 즉 고급육 시장이 어느 정도 정착되어 있어 외부 경기 및 질병 발생등의 영향을 적게 받고, 고급육 생산만이 비육우 농가들에게 안정된 수익을 보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축산연과 공동으로 개발된 삼양사 비프솔루션 프로그램은 1등급 출현비율을 높여 비육우양축가에게 보다 높고 안정된 수익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