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상인들의 협동조합이 공식 출범, 향후 움직임에 채란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계란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박오범)은 지난달 22일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설립인가를 취득한데 이어 지난 2일 대전지방법원 등기소에 법인 등기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당초 신청한 계란유통업협동조합으로의 명칭은 혼동의 우려가 있다는 산업자원부의 해석에 따라 판매업으로 변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계란판매업협동조합은 내달 초 대전 또는 서울지역에서 본부 현판식을 갖고 본격업무에 돌입할 방침을 세우고 기존의 대한계란유통협회 조직을 그대로 존속시키되 11개 협회 지부를 조합의 각 지역 사무소로 활용한 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협동조합측은 또 지난 5일 현재 조합에 참여한 유통인은 전국에 걸쳐 1백7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밝히고 예정자까지 포함하면 이달중에 3백명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오는 7월까지 총 5백명을 계획하고 있다. 향후 추진사업에 대해 조합의 한 관계자는 『계란판매업협동조합은 생산과 관련된 사업 외에 계란의 수출입과 운송, 가공 및 서비스 등 판매와 관련된 모든 사업을 할 수 있으며 생산자와 공존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것』이라며 『다만 신용사업도 가능하지만 당분간은 생각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에따라 계란판매조합측은 계란의 GP기능을 겸한 계란 물류센터 설치와 함께 각 지역 사무소간 물류조정사업을 적극 추진해 나가는 한편 계란유통의 콜드체인시스템화를 위해 조합원들이 계란배송차량을 냉장차량으로 교체할 수 있는 지원책 마련과 관리감독 기능 및 향후 가공사업까지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관계자는 특히 계란 수입에 대해 『생산자 뿐 아니라 국내 유통인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수입은 최대한 배제할 것』이라며 『그러나 일정수준이상의 국내 계란가격 폭등시에는 생산자측의 의견을 수렴해 수입을 할 수 도 있다』고 밝혀 그 가능성을 배제치 않았다. 한편 생산자단체의 한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상인들이 이같은 조합을 결성한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일단 두고는 봐야겠으나 이 조직을 이용 가뜩이나 혼탁한 계란 유통시장에서의 횡포를 위한 미끼가 돼서는 안될 것』이라며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또 농협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이번 조합설립을 막을만한 어떠한 근거가 없는 만큼 이미 법인인가 취득은 예상했던 일』이라며 『그렇다고 해도 조합자체가 앞으로 양계산업과 관련한 정책협의나 의견수렴 대상에는 포함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일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