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식품관리 왜 농림부가 관장해야 하나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4.07.09 21:50:09

기사프린트

>> 98년 소비자 등 합의 국회 의결, 재론 여지 없어

축산식품 관리 업무는 지난 1962년부터 농림부에서 관장해오다 1985년 보건복지부에서 이관된 이후 지난 95년 소비자 단체 등의 요구로 2년여의 심도있는 논의와 토의를 거쳐 지난 1998년 당시 대통령 자문기구인 ‘행정쇄신위’결정과 국회 본회의 의결(찬성 90, 반대 21, 기권 47)로 농림부로 환원됐다.
따라서 축산식품 관리 업무 관장 논의는 이때 이미 생산부터 소비까지 일관된 관리가 필요하다는데 소비자들도 공감, 결정된 사항인 만큼 재론의 여지가 없다는 것이 축산 수의 보건위생전문가들의 주장이다.


>> 식품안전위험 예방관리 위한 일관체제 긴요

축산 식품의 안전성은 축산물 생산과정에서 가공 유통 소비에 이르는 전 단계에 걸친 위해 요소 예방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산과 소비까지(Farm to Table) 일관 관리 체제가 전제돼야 한다는 것.
농림부는 현재 이같은 요구에 부응, 가공 유통 단계의 HACCP제도를 정착시킨 가운데 앞으로 생산 단계와 소비 단계의 HACCP를 준비하고 있다.



>> 생산·유통 이력추적시스템 구축

축산 식품의 안전성 관리 제도의 가장 선진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 축산물의 생산 유통 이력추적시스템은 축산 식품에 위해 요소 발생시 역 추적을 가능케함으로써 축산 식품의 오염으로 추가적인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생산 단계에서 소비 단계에 이르기까지 안전 불감증 해결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 제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운용하기 위해서도 축산식품의 농림부 관장은 필연적이라는 것이다.


>> 선진국에서도 축산식품관리는 생산부서에서 맡아

선진국에서도 축산식품 관리는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과정을 일관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영국, 프랑스, 독일, 덴마크 등 EU국가와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 외국에서는 생산부서에서 축산식품 위생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미국도 육류가 함유된 모든 축산 식품은 농무부에서 관장하고 일반 식품만 보건부에서 관장하고 있다. 특히 캐나다, 덴마크는 농업부 산하에 식품위생청과 수의식품청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