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에서 관장하고 있는 축산식품 관리 업무의 식약청 이관이 점점 가시화되자 축산·수의업계 뿐 아니라 일부 소비자단체에서도 이같은 처사는 안전을 도외시한, “시대에 역행하는 납득할 수 없는 폭거”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보건위생 전문가들도 축산식품을 식약청에서 담당토록 하게 된다면 이는 축산물의 특성을 무시한 상식을 벗어난 소행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축산관련학회와 전국축협조합장, 그리고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역시 “축산식품 위생 관리업무의 식약청 이관은 어불성설”이라면서 축산물은 사육, 도축, 가공, 보관, 운반, 판매 등의 과정을 거쳐 소비되는 만큼 생산에서 소비까지(Farm to Table) 일관된 식품안전관리가 중요함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국제기구(FAO/WHO)와 선진국에서도 사후관리의 한계를 인식하고 생산단계부터 사전예방적 위생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마당에 우리는 시대의 수레바퀴를 거꾸로 돌리려 하느냐고 맹비난하고 있다. 특히 식품위생 관련자들도 시대적 조류가 관리 일원화에서 품목 일원화로 바뀌어가고 있고, 이미 선진국에서는 정착단계에 와 있는데도 우리는 오히려 이를 거슬러 식약청으로 관리를 일원화하는 것은 오히려 식품안전의 난맥상만을 가중시킬 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축산물은 생산을 담당하고 있는 농림부에서 일관되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임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그동안 97년 이후 농림부에서 축산식품을 담당하면서 부터 생산에서 판매까지 일관관리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축산물 위생수준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 예로 대표적인 사전예방제도인 HACCP를 도축장, 가공장, 보관·운반·판매업소 등에 적용하고 있으며, 사전예방적 일관관리를 통한 축산물 위생수준 향상으로 축산물 식중독 사고가 99년 31건에서 2003년 16건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뿐만 아니라 축산물위생관리 인력 및 조직을 보강하고 전문성을 활용한 수입축산물에 대한 위해요인에 대한 감시도 철저히 하고 있어 축산식품 안전성 관리가 크게 강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