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식품은 특성상 가축사육단계의 질병관리부터 최종소비단계까지 체계적으로 책임관리해야 근원적으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의견이 국내외 전문가들사이 강하게 제기되면서 생산부처인 농림부에서 담당해야 한다는 타당성이 설득력을 더해가고 있다. 더욱이 소비자단체들마저도 지난 8일 간담회를 갖고, 축산식품 관리를 농림부가 아닌 타 기관에서 맡게 되면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라는 데 대부분 인식을 같이한 가운데 소비자단체 공식 입장을 조율을 하기 위해 조만간 다시 모임을 열어 소비자단체 입장을 최종 확정지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뿐만 아니라 식품·보건전문가 역시 농림부에서 축산식품 관리 업무를 관장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인 점을 밝히면서 만약 식품관리 업무를 식약청에서 관장함으로써 이원화될 경우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처의 어려움은 물론 책임소재 불명확으로 오히려 소비자의 불안감만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식약청 산하 사단법인 축산식품안전협회(회장 신광순)는 오는 23일 ‘식품안전관리 그 해법은 무엇인가’라는 주제의 정책토론회를 갖고, 식품안전관리 제도 개선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벌일 예정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황수철 박사(농정연구센터 부소장)의 ‘식품안전관리체계의 개편방향’에 대한 주제발표와 함께 토론자와 참석자들간에 폭넓고 깊이있는 격론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앞서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남호경)는 지난 14일 축산식품 관리 업무와 관련 긴급 전체회의를 열고, 이 업무는 농림부에서 맡아야 된다는 당위성에 대해 다시한번 확인하고, 이를 위해 전방위 활동을 전개키로 뜻을 같이했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