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식품 관리 업무의 식약청 이관 논의가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단체들이 축산물의 특성상 현행과 같이 농림부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이행자)는 지난 16일 국무조정실 식품안전T/F팀에서 발표한 ‘식품안전종합대책’과 관련 이같이 입장을 최종 정리하고 국무조정실을 비롯해 농림부, 식품의약안전청에 의견서를 제출했다. 소비자단체들은 이 의견서에서 “축산물의 경우 특성상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서 위해요인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에서 소비까지 위해평가 및 위해관리가 일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전문성과 책임행정을 강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축산식품 업무의 농림부 관장 당위성을 뒷받침했다. 소비자단체는 아울러 “식품관리는 부처별 업무영역 구분을 어떻게 할 것이냐 보다 식품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단계에 걸쳐 소비자 안전성이 확보되는 책임있는 식품안전관리행정체계 구축이 더욱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식품위해평가와 식품행정의 상호협조와 조정기능을 담당하는 식품안전정책위원회 설치안에 대해서는 찬성 입장을 분명히 했다. 소비자단체들은 다만 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있어서는 보다 전문적이고 구체적이며 실효성이 확보되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현 구성안과 같이 정부 공무원 위주로 위원회가 구성될 경우 부처간 비협조로 인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대표들도 포함시켜 줄 것을 요청했다. 이번에 참여한 소비자단체들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소속 녹색소비자연대(상임대표 이덕승), 대한YWCA연합회(회장 이행자), 대한주부클럽연합회(회장 김천주), 소비자문제를연구하는시민의모임(회장 김재옥), 전국주부교실중앙회(회장 이윤자), 한국소비자교육원(원장 전성자), 한국소비자연맹(회장 정광모), 한국소비생활연구원(원장 김연화) 등이다. 한편, 이와 관련 축산관련 단체들은 그동안 축산식품 관리업무의 농림부 관장 당위성을 꾸준히 강조해 왔는데, 축협에서도 21일 경기도 조합장회의를 가진것을 비롯 22일에는 충남북조합장 회의를 통해 축산식품 관리 업무의 농림부 관장 당위성을 확인했으며, 27일과 28일에는 축발연 소속 조합장회의를 개최하고 다시 한번 이를 강조하고 식약청의 축산식품 이관 움직임에 쇄기를 박을 방침이다. 이희영 Lhyoung@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