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충남농업이 맞춤농정과 명품농정을 추구하며 첨단생명산업으로 육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충남농업발전의 미래 패러다임을 새로 짜고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20일 충남농업기술원에서 “충남농어업·농어촌 새로운 활로를 찾는다.”라는 주제로 열린 농어업정책대토론회에서 충남도는 종합대책설명 및 주제별로 지정토론을 통해 도출된 발전적 의견을 토대로 충남농정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간다는 전략이다. 심대평지사는 농촌이 생산의 특수성으로 인해 타산업과 격차가 발생하고 농어촌의 황폐화는 식량생산기지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누릴수 있는 자연의 쾌적함과 마음의 고향이라는 정서적 쉼터를 잃어버린다는 것을 알아야한다며 농어촌이 생활공간으로 경쟁력을 갖출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허상만 농림부장관은 김주수 차관이 대독한 축사에서 농업의 개방화 및 무한경쟁시대에 대응하기위해 지역별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분야를 선정육성해야 한다며 이를위해 정부는 지방화시대에 걸맞게 지역의 산관학연이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농업 혁신의 상승효과를 만들어 내는 지역농업 클러스터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조연설에서 성진근 충북대교수는 정책환경의 변화와 바람직한 지역농정 방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지역농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책전환,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개발정책의 전환, 강화되는 정책심사와 평가시스템에 적극 대응을 주장했다. 황인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