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은 안성마춤의 고장으로 알려져, 이제 누구나 맞춤하면 안성을 떠올린다. 그만큼 안성마춤은 안성을 대표하는 말로 자리잡았다. 안성시는 이같은 안성마춤의 이미지를 한우에 접목, 안성한우의 경쟁력 확보에 나서 이제 "안성마춤한우"라는 브랜드를 통해 그 결실을 맺고 있다. 안성마춤의 이름값에다 한우를 접목하여 브랜드화 작업은 시작됐지만 그렇다고 쉽게 이뤄질 일은 아니었다. 소위 안성 한우인들이 "한우의 명작"이라는 말을 자신있게 내놓을 수 있었던 것은 안성한우인은 물론 안성시청과 고삼농협은 물론 천하제일사료등 사료업체와 안성축산물종합처리장, LG백화점 등 유통 관계자들이 모두 하나가 되어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에 매진해 왔기 때문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면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은 어떻게 추진돼 왔는가. 그 추진과정을 보면 과연 이렇게 주도 면밀하게 추진해 왔기 때문에 "명작"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안성마춤 한우의 출발은 지난 98년 3월 회원 약 30명의 안성마춤 일죽한우회가 결성되면서 부터다. 한우회가 결성된 이후 한달후인 4월에는 엘지백화점에 입점함으로써 서서히 안성마춤한우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안성시에서는 이에따라 상표사용체계 확보에 나서 지난해 2월 18일 고삼농협을 통상사용권자로 특허청에 등록하고, 아울러 안성마춤 한우 유통사업에 필요한 심볼, 로고와 포장 간판류의 B.I.P 개발을 추진 3월 29일자로 완료했다. 안성마춤 한우의 성공열쇠는 역시, 생산기반 구축. 안성한우회를 중심으로 가축인공수정과 종축 등록 사업을 실시, 지난해 3천5백여두의 인공수정사업과 4백50두 규모의 종축등록 사업 실적을 보였다. 또 고급육 생산기반 조성을 위해 수소거세 장려금으로 두당 10만원씩 지원했는가 하면 안성축산물종합처리장에서 도축된 거세우중 2등급 이상 고급육에 대해선 1등급에 10만원, 2등급에 5만원의 품질개선장려금을 지급했다. 지난 11월말 현재 품질 개선장려금 지급액은 6백64두분 5천4백80만원이나 된다. 브랜드화 사업 성공의 또 하나의 축, 고정판로 확보등 유통의 문제는 우선 대형유통업체인 LG백화점을 고정 판매처로 확보함으로써 브랜드화 사업에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고급 소비자들이 고품질 제품을 찾는다는 데 착안한 것이다. 안성마춤의 브랜드화 사업 추진과정에서 주목할 또 하나는 안성마춤 한우 생산자 리콜제 시행이다. 생산자인 양축농가와 유통을 담당하는 고삼농협, 그리고 안성시가 함께 책임을 지는 리콜제 실시로 안성마춤 한우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확실하게 확보하게 된 것이다. 안성마춤한우는 여기에 머물지 않고 시와 농협, 한우회가 긴밀히 협의하여 기능성 한우를 개발하기 위해 안성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주)자광과 키토산 급여 시험중에 있기도 하다. 이렇듯 안성시와 고삼농협, 한우회를 비롯한 모든 관계자들의 하나된 노력은 "안성마춤한우"는 당당한 "한우의 명작"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설 수 있게 된 것이다. 이같은 "안성마춤한우"의 성공적인 브랜드화 사업은 이제 한우의 경쟁력을 생각하는 타지역의 한우인들과 관계기관 등에서도 모범적인 모델로서 자리매김하게 됐다. <안성마춤 한우의 발자취> -1998년 3월 안성마춤 일죽한우회 모임(회원 약30여명) -1998년 4월 안성마춤 한우 엘지백화점 부천점 입점 -1999년 12월 안성마춤 한우 전문점 일죽 휴게소점 개점 -2000년 4월 엑지백화점 안산점 입점 -2000년 5월 안성마춤 한우 셀파5종검사 실시(TCL)검사 병행 -2000년 5월 안성마춤 한우 B.I 작업 완료 -2000년 6월 안성마춤 한우회 안성시 전체 발족(회원 약1백30여명) -2000년 6월 안성마춤 한우 국내최초 생산자 리콜제 실시 (고삼농협 60%, 안성시 30%, 생산농가 10% 부담) -2000년 7월 앨지백화점 구리점 입점 앨지백화점 송파점 입점 -2000년 9월 앨지백화점과 합작으로 안성마춤 한우 냉장육 선물세트 출시(추석) -2000년 9월 전국 고급육 품평회 브랜드부문 최우수상 수상 -2000년 10월 안성마춤 한우 농장별 개체별 도체검사 실시 (1백여종 질병 및 기타 소의 건강체크) -2000년 12월 병원성 미생물 검사 및 일반 미생물 검사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