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해양배출업체 돈분 수거 ‘뒷전’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4.09.06 09:04:06

기사프린트

일부 지역 해양배출업체들이 돈분뇨 수거를 기피, 해당지역 농가들이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나섰다.
경기도와 충청일부 지역 양돈농가들에 따르면 올 여름들어 해양배출업체들의 양돈분뇨 수거량이 대폭 감소하거나 그나마 수거시기도 크게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의 비육돈 농가는 “지난 7월부터 해양배출업체들의 수거량이 50% 이하로 줄었다”며 “가까스로 견디고는 있으나 시간이 더 지날 경우엔 대책이 없는 상황”이라고 털어놓았다.
이같은 추세는 돈분뇨에 비해 월등히 높은 처리비를 받을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의 해양배출량이 증가한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돈분뇨의 경우 보통 톤당 1만5천원의 처리비용이 부담되나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2만5천원으로 거의 두배 가까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늘어나면서 일부 업체의 경우 양돈농가와의 연간처리계약에도 불구하고 쿼터가 없다는 이유로 돈분뇨 수거를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더욱이 지난 7월 권역내 매립지의 음식물쓰레기 반입이 금지된 경기도 일부지역 농가들은 돈분뇨 처리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여름철 양돈농가의 세척수 사용이 증가, 돈분뇨 배출량이 늘어난 반면 상당수 해양배출업체들이 연간 쿼터제를 감안해 8월의 돈분뇨 배출량을 축소한 있는 것으로 전해져 해당지역 양돈농가들의 어려움은 당분간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내년부터는 음식물쓰레기 매립이 중단될 예정이어서 보다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따라 양돈업계에서는 해양배출량을 확대하되 일반 폐기물과는 달리 환경오염의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은점을 감안, 해양배출 쿼터에 축산분뇨를 일정비율 배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대한양돈협회도 그 실태분석을 토대로 구체적인 대응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