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배합사료업계에 ‘무항생제 사료’ 바람이 예고되고 있다. 이는 최근 정부의 배합사료에 첨가하는 항생제수 감축과 양돈용 배합사료 제조시 구리와 아연 함량 감축 등 잇따른 환경친화적인 정책 발표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퓨리나코리아는 이미 ‘하이린’이라는 이름으로 양돈용 무항생제 사료 출시에 나섰고,천하제일사료 등 몇몇 메이저급 사료업체도 무항생제 또는 저항생제 사료 출시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이미 비육후기사료에는 항생제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판매한지 오래라는 점을 감안하면 무항생제 사료가 어느 단계에서의 무항생제 인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관련인들의 지적이다. 앞으로 환경친화적인 축산업을 영위하지 않으면 소비자들로부터 우리 축산물이 외면당 할 지 모르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도 건강한 가축사육 환경 조성에 하반기 정책의 초점을 맞춘다는 방침이어서 배합사료업계의 무항생제 사료 바람은 갈수록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사료업계의 무항생제 등과 같은 웰빙 정책 못지 않게 실제로 양축을 하는 사양가들의 의식 또한 매우 중요한 문제”라며 “깨끗한 환경을 조성 하지 않으면 가축 질병으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환경친화적인 사육 환경을 통한 건강한 가축 키우기에 너도나도 앞장서 나가자”고 당부했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