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표 의원-한나라, 충남 홍성·예산 ▲의원님의 농업관은 무엇인지요. - “농민은 국민의 어머니”란 마음으로 우리 농민들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모든 어머니들이 자식들의 안전한 먹거리를 준비하듯 우리 농민의 자세 또한 같은 마음일거라 봅니다. 우리 농민들은 항상 산업화 개방화 속에서도 꿋꿋이 우리 국민의 먹거리를 위해 항상 어머니 같은 마음으로 식량을 생산해 왔고 농토를 일구어 왔습니다. 우리의 농업이 1차산업에 머물지 않고 2차, 3차 산업으로 연계되는 대안을 찾는 일에 전면을 다할 것입니다. ▲올해는 그 어느해 보다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 만큼 의원님들께서 챙겨야 할 부분도 적지 않아 보입니다. 올 정기국회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부분은 무엇인지요. -우선 쌀 협상이 당장 코앞에 닥쳐온 가장 큰 과제라고 봅니다. 우리는 이번 DDA협상에서 반드시 개도국 지위를 얻어내고 우리 농민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가 협상을 잘 이끌어내야만 합니다. 또한 낙농대책에 대해서도 농림부의 정책이 농가의 입장을 얼마나 대변하고 있는지, 단기성 정책은 아닌지를 집중적으로 점검 하겠습니다. ▲특히 축산분야에는 최근들어 축산식품 가공업무 이관 문제를 놓고 소모적인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실 선진국의 예를 보더라도 축산식품 관리는 생산부서가 담당하는게 추세입니다. 이에 대한 견해도 좀 한 말씀 해 주시지요. -이 문제는 정부부처간 업무규정문제를 떠나 국민들에게 얼마나 안전한 식품을 공급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봅니다. 가령 축산의 생산과정과 유통과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축산식품을 다룰 순 없다고 봅니다. 축산식품의 안전성은 일반식품 유통과는 또다른 점이 있다고 보았을 때 식품의 관리감독을 일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맡는 것은 타당하다고 보나 가공업무 일체를 식약청에 맡기는 일은 위험한 생각이라고 봅니다. ▲이에 못지 않게 음식점에서의 원산지 표시도 반드시 시행되어야 할 제도입니다. 그럼에도 타부처에서는 통상마찰 운운하며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도 견해를 말씀해 주시지요. -원산지 표시는 가급적 빨리 정착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농장에서 식탁까지 체계적이고 일관된 위생 안전 시스템을 통해 안전한 농산물 생산 공급을 위해선 원산지 표시는 반드시 시행돼야 할 문제입니다. 물론 통상 마찰 해결도 중요하지만 농산물 생산이력제의 도입과 더불어 보다 투명하게 식품관리를 위해선 반드시 원산지표기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협동조합개혁 방향에 대해서도 평소 소신을 들려주세요. -현재 진행중인 농협법 개정은 일부분 매우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특히 중앙회 회장의 막강한 권한을 비상임화 하는 문제나 전문성을 갖추는 인력제도 개선 등은 그 좋은 예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경분리에 대한 견해는 서로 이해가 상충하고 있으니 어느것이 더 농민의 이익을 위한 것인지를 따져보고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결정되어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 ▲전국 농축산인들에게 꼭 당부하거나 하고 싶은 말씀은. -우리는 수출을 해야 먹고사는 산업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DDA 쌀협상의 어려움이 있는 것입니다. 수출은 해야되고 쌀 개방을 하기엔 농촌 현실이 너무도 어려운 입장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루빨리 우리의 농업에 대해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하고 개발해야 합니다. 이런 과정에 농민들에게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은 없을까? 하는 것이 저의 고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