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협중앙회가 통합된지 만 4년여가 지났지만 아직도 축산현장에서는 통합농협이 축산업과 축협을 홀대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인식이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다. 통합농협은 축산물이 쌀 못지 않게 농촌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실질적으로 축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일선축협에 대한 여러 가지 한계(?)를 설정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 예로 통합이후 지속적으로 축협조합장들이 제기해왔던 “전문성에 기초한 축산기자재사업 축협일원화” 문제에 대해 농협중앙회 관계자들은 “검토해보겠다” 또는 “단위농협 사업을 무조건 그만두라고 할 수 없다”등 임시방편식으로 넘기는 이상의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축산인들의 정서이다. 통합정신을 살려 최소한의 전문성을 확보해줘야 할 농협중앙회가 말 그대로 립서비스 이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대책을 강구한 것이 없다는 것이 축산현장의 목소리이다. 통합당시 1백94개였던 축협 숫자가 현재 40여개가 줄어든 상태에서 일선축협이 가지는 소외감은 대단하다. 많은 합병축협들이 생존을 위해 사업계획을 수립해도 고정자본 투자한도에 묶여 몇 년간 개점휴업 상태로 지내야 하는 모습도 곳곳에서 눈에 띤다. 농민단체의 농협개혁 요구에 맞춰 중앙회와 조합의 경제사업 역량을 강화한다는 농협중앙회의 자발적 개혁안조차도 대부분의 합병축협에게는 따라갈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는 상태인 것. 협동조합 본연의 임무를 다하기 위한 경제사업 수행도 기본적인 고정투자 제한에 묶여 사실상 어렵다는 것이 합병축협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한편 대부분의 축협들은 중앙회 통합 이후 사업장 하나 확대하기 위해서 상상외의 정력(?)을 소모하거나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일선축협은 기본적으로 1개 시군 이상 광역화돼 있는 조합으로 관내에 10여개 안팎의 단위농협과 공존하고 있다. 중앙회는 일선축협이 사업장을 개소할 때 인근 단위농협의 합의를 먼저 구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선축협이 신사업을 모색해도 단위농협이 반대하면 사업장 확대가 원천적으로 막혀 있는 실정이다. 단위농협도 업적평가등 다양한 중앙회의 평가제도 또는 통제(?)방법에 따라 손익과 업적에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쉽게 타 조합의 사업전개를 허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일선축협들은 사업타당성 여부보다 인근 단위농협의 반대로 인해 사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선축협은 축협의 전문성제고 차원에서 배합사료를 비롯한 축산기자재와 축산물판매 창구는 반드시 일원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나 현실은 축협의 전문성 제고와 사업경합해소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거둔다는 통합정신은 실종된 형편이다. 실제로 일부 단위농협은 인근축협이 브랜드화를 통해 대대적인 축산물 판매에 나서고 있음에도 별도의 축산물 판매사업에 나서면서 경합을 벌이는가 하면 대부분의 단위농협이 사료판매에 나서 일선축협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 반면 상당수 단위조합이 참여하고 있는 장제(葬祭)사업 등에는 일선축협의 참여가 원천 봉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선축협 관계자들은 중앙회의 단위농협 업적평가시 사료판매와 같은 축산사업부문은 아예 평가항목에서 제외하는 등 일선축협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지도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통합농협 출범 5년째에 접어든 시점에서 농협중앙회는 축산업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그동안 어느 정도의 노력을 다했는지, 농촌경제를 이끌고 있는 일선축협의 사업 활성화를 위해 어떤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 축산인들의 지적이다. 신정훈 jhshin@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