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 방지 대책을 찾아라' 내년 축산 현장에서는 물론 축산 관련 산업계인 사료업계와 동물약품 업계에서도 '악취 방지'가 키워드가 될 전망이다. 가축 분뇨 냄새를 1백% 완벽하게 없앨 수 없는 현실에서 내년 2월부터 발효되는 악취방지법은 축산 농가에 어떤 형태로든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가축분뇨 냄새가 주민들의 민원으로 관련 행정기관에 접수될 경우 일선 공문원의 엄격한 법적용이 불가피해 악취방지법 시행으로 인한 축산농가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농림부는 이에 따라 축산 현장에서 악취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관련업계에 주문하는 한편 적정 사육밀도 유지 등 친환경 축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악취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농림부의 이 같은 악취 방지 대책 주문에 대해 우선 배합사료 업계는 발효촉진제를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악취를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사료 업체별 악취 저감 사료 개발과 마케팅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또한 동물약품 업계도 환경개선제 등을 이용해 악취를 아예 없애거나 줄일 수 있는 제품을 앞다투어 개발할 것으로 보여져 악취 방지가 동약업계 영업에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농림부는 이와 관련 지난 17일 각 시군 축산·환경계장 등 관련인 4백여명을 참석시킨 가운데 가축분뇨 처리에 대한 회의를 가졌다. 김영란 yrkim@chuksan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