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유입과 재발을 막아 청정국으로 복귀하기 위해 지난 2월 24일부터 오는 4월 30일까지 두달여 기간동안 구제역 특별방역대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같은 구제역 특별방역대책에는 농림부 만이 아닌 국무조정실, 행자부, 건교부, 해양경찰청, 관세청, 기상청, 농진청, 경기도, 충북, 충남 등 지방자치단체까지 참여해 농림부 차관보를 반장으로 하는 구제역 실무대책반을 구성하는 등 구제역 재발방지를 위한 기관, 단체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정부의 이같은 대책은 이번 오는 4월말까지 구제역 재발을 막으면 9월에 국제수역사무국(OIE)에 청정국 복귀신청을 하고 늦어도 내년 5월 OIE총회에서 청정국 지위를 획득하기 위함이다. 정부는 이미 지난해 4월 16일 이후 구제역 재발방지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 현재까지 재발생이 없었다는 것. 그러나 최근 중국과 몽골의 국경지역, 태국, 영국등지에서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고 국내발생 구제역의 유입원인중 하나로 꼽히고 있는 중국과 몽골 등지의 황사발생현상이 빈번해 지고 있어 4월 30일까지를 구제역 특별방역대책기간으로 설정하고 집중적인 예방조치를 추진키로 한 것이다. 문제는 농가들이 이같은 대책에 얼마나 협조를 해 주느냐에 따라서 성공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의전문가들은 구제역 예방백신의 유효기간이 6개월로 지난해 8월까지 접종한 가축의 면역력이 크게 저하돼 이제는 소독만이 살길이라는 것이다. 특히 지난 동절기 동안 혹한과 대설등으로 인해 소독을 소홀히 했던 점을 고려할 경우 오는 4월말까지 농가 스스로가 집중적인 소독을 실시하지 않으면 청정국 복귀는 요원해 질 수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농림부도 이같은 소독의 중요성을 감안해 매주 소독의 날을 정해 소독을 실시하는 한편 소규모 농가까지 1백% 소독에 참여할 수 있도록 2-3개 마을단위 별로 공동방제단 1만2백69개소를 편성하고 이 공동방제단에는 소독약과 운영비 등으로 82억원을 지원키로 한 것도 소독의 중요성 때문이다. 농림부가 4월 30일까지 소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독려하고 있는 것은 구제역 예방백신의 면역력이 떨어진 이유도 있지만 대만이나 일본, 영국, 태국 우리나라의 구제역 발생시기가 3월이었던 점도 크게 고려된 것이다. 수의전문가들도 이 기간동안 농가 스스로가 집중적인 소독을 실시해야만 구제역 청정국 복귀에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농림부가 지난달 24일 경기도 화성군 남양면의 돼지 사육농가에서 소독 시연회를 실시한 것도 바로 이같은 맥락에서 추진된 것이라는 것이다. 수의전문가들은 "농가에서 귀찮다고 소독을 게을리 할 경우 구제역 청정국 복귀를 통한 돈육수출재개는 불가능해 진다"며 "철저한 소독만이 살길이라는 점을 농가 스스로가 깊이 인식하고 철저한 소독활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