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근내지방도 초음파로 측정

윤주용지도자, 동아대 대학원 농학박사논문서 밝혀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03.07 11:31:18

기사프린트

일선 행정기관에서 17년간 농촌지도사로 근무하면서 양축농가 소득향상에 매진해온 울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 윤주용지도사가 지난달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농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윤주용지도사가 박사학위를 취득한 연구논문은 「한우 고급육 생체판정 자동화를 위한 배최장근의 판정부위 선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 방극승교수의 지도하에 발표된 이 논문은 초음파를 이용한 생체판정기술 자동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우거세우 2백10두와 한우암소비육우 1백60두를 대상으로 배최장근의 판정구역 선정에 관한 실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한우거세우와 암소 각각에서 근내지방도와 근내지방함량과의 상관관계는 0.78(p<0.01)과 0.81(p<0.01)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 근내지방면적과 근내지방함량, 근내지방도와 근내지방면적과의 상관관계에서는 0.57(p<0.01) 0.64(p<0.01)와 0.64(p<0.01) 0.61(p<0.01)을 보여 근내지방면적의 측정으로 근내지방함량과 근내지방도의 추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배최장근내 총 근내지방면적과 9분할한 근내지방면적과는 거세우의 4구역 0.82(p<0.01)와 암소의 5구역 0.87(p<0.01)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총 근내지방면적을 대표할 수 있는 구역으로 선정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 한우거세우 2백10두와 암소 1백60두에 대한 생체초음파 측정등급과 도체등급과는 0.88(p<0.01)과 0.84(p<0.01)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한우거세우와 암소에서 분할한 구역별 초음파 생체 판정에서도 총 초음파 생체판정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각각 5구역은 0.94(p<0.01)와 0.87(p<0.01)의 상관관계를 보여 초음파 생체판정에서도 대표구역을 정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암소에서 배최장근 5구역과 총 근내지방면적 총 근내지방함량 각각에서는 0.87(p<0.01)과 0.89(p<0.01)의 상관관계로서 5구역의 근내지방면적 측정으로도 근내지방함량과 근내지방도를 신속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상의 한우거세우와 암소 비육우의 도체 분석과 생체판정 결과를 볼 때 생체의 초음파 영상만으로도 근내지방도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윤주용박사는 분석했다.
또 이를 응용,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도체등급판정 자동화와 생체초음파 자동판정 소프트웨어 개발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윤주용박사는 분석하고 있다. <조용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