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릴레이기획, 구제역 재발하면 우리축산 결딴난다

중앙.지방 손발 맞춰야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03.12 10:55:48

기사프린트

지난해 구제역 박멸과정에서 지적된 문제중 하나는 지방자치단체의 협조가 부족해 조기 박멸이나 확산방지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것이다.
수의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에 대해 66년만에 구제역이 재발함에 따라 경험이 부족했던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이해 하면서도 일선 행정관서장들의 방역에 대한 이해부족도 이같은 현상을 부추켰다고 꼬집고 있다.
실제 모 지역의 경우 살처분 대상 가축을 정하는 것이 늦어져 이 지역에서 대거 발생했으며 또다른 모지역의 경우 이동통제가 늦어져 방역당국의 긴장시키기도 했다.
물론 이들 지역 행정관서장들은 경고 조치를 받기도 했지만 선출직인 이들 행정관서장들에게 경고는 사실상 큰 의미가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수의전문가들은 현행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가축방역에 대한 책임은 각 시도지사로 되어 있는 만큼 일선 행정관서에서 가축방역에 대한 의지를 고취시켜 협조하지 않으면 중앙정부가 아무리 구제역 재발방지와 조기박멸의 의지를 높여도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각각 맡겨진 임무에 충실해야만 재발방지와 유사시 조기박멸에 성공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김옥경 원장이 각 시도 행정부지사나 각 행정관서장을 만나 구제역 재발방지와 일단 유사시 박멸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우려 때문이기도 하다. 여기에 각 과장들과 직원들이 일요일마저 반납한채 서해안 일대를 돌며 소독점검과 함께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는 것도 지난해 이같은 경험에서 발로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수의과학검역원 안수환 질병연구부장은 일선 시도에서도 관내 농가들에게 소독과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홍보해야하며 구제역 유입방지를 위해 해외 여행시 육류를 휴대하지 않도록 교육하고 동시에 구제역 발생국가의 농장을 방문하지 않도록 철저한 교육과 홍보를 실시해 줄 것을 당부했다.<신상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