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소비자 홍보 계란등급제 조기정착 좌우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03.19 11:28:43

기사프린트

계란등급제 시행의 효율적 추진과 조기정착을 위해서는 대소비자 및 유통매장등에 대한 홍보가 필수적인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계란의 유통기한에 대한 뚜렷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등급날짜만을 표기토록 하는 것과 세란과 비세란과의 구분방안도 명확치 않아 향후 논란사안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농림부 주최로 지난 14일 개최된 계란등급제 규정 제정을 위한 공청회에서 토론자들은 등급제에 대한 필요성에 공감하고 계란소비촉진과 유통개선에 큰 효과를 기대했다.
다만 이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해서는 등급판정 계란의 판매장 확보와 함께 소비자들이 먼저 찾을 수 있도록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전개가 전제돼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통해 농가들은 등급에 따른 적정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하며 소비자들도 신뢰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경기 양계축협의 김대웅 상무는 『계란의 경우 공판기능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등급판정계란에 대한 적정가격이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전제, 『그렇지 않을 경우 오히려 역기능이 뒤따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한양계협회 최명욱 전무는 정부의 등급제 시안이 계란에 등급판정일자가 아닌 유통기한이나 권장기한으로 바꾸는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의 강광파 상임이사도 유통기한에 대한 공인된 연구기관의 연구를 통해 그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홍보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계란판매협동조합의 황찬익 전무는 품질등급제 기준의 구체화와 계랑화를 주장, 눈길을 끌었으며 일부 토론자들은 등급제에 대한 투명성 및 사후 관리감독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 했다. 특히 등외계란 처리와 함께 세척란과 비세척란이 품질유지기한에 분명한 차이가 있음에도 정부의 등급제안에는 이에대한 언급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며 보완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동안 등급제의 가장 큰 쟁점이 돼왔던 중량규격의 경우 강광파이사와 일부 상인측에서 등급간 간격조정을 검토할 것을 요구해 여전히 논란의 소지를 남겨두었다.
이에대해 농림부의 정동홍 과장과 축산물등급판정소의 고경철 부장은 등급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실시 이전까지 시안에 대한 적극적인 보완 개선작업을 해나갈 것을 약속했다. 또
유통기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음을 밝히고 그 결과가 나올경우 판정계란에 유통기한을 표기토록 할 방침임을 밝혔다. 또 농장에서의 자체판정 가능요청에 대해서는 객관성 문제를 지적하며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으며 사후관리를 위한 명예감시원제도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축산기술연구소 이상진 가금과장은 중량규격이 각 업계의 합의사항인데다 국내 생산실정과 관행을 충분히 감안한 것인 만큼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일호L21ho@chuks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