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뉴캣슬병 종합예방대책 및 농가방역대처방안

뉴스관리자 편집장 기자  2001.03.26 10:42:35

기사프린트

모인필 과장(국립수의과학검역원 조류질병과)

국제수역사무국(OIE) 지정 리스트 A질병인 뉴캣슬병은 대부분 조류에 감염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되는 동물에 따라 피해정도의 차이가 많다.
국내에서는 3∼5년을 주기로 발생증가와 감소가 반복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백신의 사용량과는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백신접종만 정확하면 질병예방을 확실하게 기대할 수 있는 질병이다.
2005년 비발생국 선언추진
정부에서는 근절대책 1단계로 올해부터 2002년까지 예방접종 강화를 통해 발생을 최소화할 방침인데 이럴 경우 1단계에서의 살처분 보상 제도의 단계적 도입도 추진될 전망이다. 2단계(2002∼2004년)에서는 발생최소화 정책과 청정화를 유도하며 3단계(2005년)에는 근절확인과 함께 차단방역 강화와 예방약 접종회수도 줄이는 한편 비발생국 선언을 추진하는 등 오는 2005년까지 닭뉴캣슬병 근절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면역안될 경우 100% 폐사
국내에서 유행하는 뉴캣슬병 바이러스는 대부분이 소화기 친화성 강독 바이러스로 면역이 안된닭은 거의 100% 폐사한다. OIE의 보고에 따르면 지난해에도 호주 일본 이탈리아 멕시코 등에서 이 질병이 발생됐으며 국내의 경우 지난 1924년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질병의 예방약으로 국내에서는 생독과 사독백신이 이용되는데 사독백신의 경우 수산화알루미늄 겔백신과 오일백신으로, 생독백신은 장친화성과 호흡기친화성 생독백신으로 분류된다.
백신접종은 육계 산란계 및 종계와 토종닭 등 계정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생독백신은 1일령에 분무접종하고 2주령과 4주령에 분무, 음수 혹은 점안으로 접종한다.
최소 2회이상 추가백신 필요
부화장에서 1일령 초생추에 대해 반드시 분무접종하되 농장은 그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농장에서 추가백신 접종시 분무접종을 실시할 경우 반드시 분무용으로 허가된 백신을 사용하고 음수 또는 점안접종을 실시하려면 B₁또는 Ls Sota(Clone주 포함) 백신이 안전하다.
분무기는 효과가 인증된 양계전용기를 사용하고 반드시 접종요령에 의거 실시토록 하는데 농장에서의 추가백신접종은 반드시 1회 이상 실시하고 뉴캣슬병 성행시에는 7일내지 10일 간격으로 최소 2회 이상 추가백신접종을 실시토록 해야 한다. 산란중인 계군의 경우도 감염우려시 이미 사독오일백신을 접종했더라도 4내지 6주 간격으로 생독백신을 음수 또는 분무접종하는 것이 안전하다.
분무접종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분무입자의 크기로서 50∼100um정도가 될 수 있는 분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며 이때 분무입자 크기의 방출범위가 일정하고 평균분무입자 크기의 균일도가 높아야 한다. 또 분무기는 이동이 용이하고 가급적 일체형이어야 한다.
분무백신 접종요령
백신접종전에는 백신희석액소요량과 분무접종 소요시간을 산정하고 분무접종시 모든 환기팬의 가동을 중지시켜야 하므로 계사별로 반드시 40분 이내에 작업이 종료돼야 한다.
분무접종시 걸음의 속도는 계사별 백신희석액 소요량과 접종소요시간을 참고 사전에 예행연습을 함으로써 걸음속도변화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해야한다.
계사별 계군 사육수수에 맞게 산정한 백신 희석액 소요량 만큼의 물에 물 1리터당 2.5g의 탈지분유를 잘섞는다. 백신은 탈지분유가 섞인 희석액 총량의 절반정도의 물에 우선 풀은 후 나머지 절반의 물량과 함께 분무기에 넣고 잘흔들어주는데 백신병을 분무기에 바로 넣어 백신을 풀어서는 안된다.
1일령 병아리 백신접종요령
병아리 박스를 부화장 또는 계사 바닥에 2줄로 길게 늘어놓은 후 박스 뚜겅을 열어놓고 접종전 모든 계사내 환기팬 가동을 중단시킨다. 이후 박스로부터 20∼30cm 높이에서 분무접종을 실시하고 가능한 스톱워치를 이용해 일정한 걸음속도와 보폭을 유지하면서 천천히 접종을 한다. 특히 병아리 박스 양측편에서 천천히 2회 분무접종을 실시한후 뚜겅을 닫은후 병아리를 박스에서 꺼내기전에 10∼15분간 놓아두어야 한다.
평사사육병아리 및 닭
계사내 조도를 최대한 높인후 병아리를 계사내부 양쪽 벽면측으로 몰아놓고 계사내 조도를 희미할 정도로 최대한 낮추어 병아리 움직임을 최소화 한다.
바닥으로부터 30∼40cm 높이에서 실시하고 분무기의 거리를 감안, 분무접종 시술자와 계사내부 벽면간 거리가 3m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일정 걸음속도와 보폭을 유지하며 계사를 종으로 왕복하며 2회 분무접종을 실시하되 시술자외에 다른 사람은 병아리 머리쪽을 향해 적절한 분사여부를 꼼꼼히 확인한다. 특히 여름철에는 가급적 늦은 저녁이나 새벽녘에 실시토록 하고 10분 경과 후 계사내 조도와 모든 환기팬을 정상가동토록 한다.
케이지사육병아리 및 닭
계사내 환기량을 높여 접종전 온도를 최대한 낮추고 케이지와 분무기 노즐간격은 20cm를 유지하며 접종을 실시한다. 일정걸음속도와 보폭을 유지하면서 계사를 종으로 왕복하며 1회분무접종을 실시한후 5분 경과 후 계사내 조도와 모든 환기팬을 정상가동한다.